[피플인 월드] 파우치 이어 ‘방역의 정치화’에 맞선 레드필드 국장

2018년 3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수장에 오른 로버트 레드필드(69) 국장의 당시 취임사 발언이다. 코로나19 사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역의 정치화’에 맞선 인물은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만이 아니다. 레드필드 국장이 16일(현지시간) 상원 청문회에서 손에 쥔 마스크를 흔들며 “백신보다 마스크가 더 효과적”이라고 말하는 장면은 미 보건 수장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기를 든 또 한 번의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레드필드 국장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꿈꾸는 ‘10월의 서프라이즈’는 몽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는 “코로나19 백신의 항체 생성률이 70%로 예상된다”며 “백신을 맞아도 코로나에 걸릴 수 있다. 백신보다 마스크가 나를 더 지켜 준다”고 강조했다. 또 백신 개발 시점에 대해서도 일반이 접종 가능한 시점은 내년 2분기 후반이나 3분기로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레드필드 국장의 청문회 발언 후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자청해야 했다. 그는 레드필드 국장이 실수·착각한 것이라며 “연말까지 1억회분의 백신이 보급되고, 상당수는 더 빨리 보급될 것이다. 백신이 마스크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반박했다.
레드필드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정반대 발언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 2월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에서 지역사회 감염을 일찌감치 예고했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운털이 박힌 세계보건기구(WHO)에 대해서는 오히려 협력을 강조했다. 또 3월에는 이른바 ‘트럼프 장벽’으로 불리는 미·멕시코 국경이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에 대한 의원들의 질문에 “그런 일은 본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레드필드 국장의 임명권자는 트럼프 대통령이지만 최근 행보는 재선의 훼방꾼이나 다름없다. 공중보건 분야 경험 부족과 과거 에이즈 백신 개발 오류 등을 이유로 임명을 반대했던 민주당으로서는 왜 파우치 소장이 그를 “유능하고 헌신적인 의사”라고 평가했는지 이제 이해가 될 법하다. 국립보건원 연구원 부모에게서 태어난 그는 조지타운의대를 졸업한 뒤 월터 리드 미 육군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간호사 출신 부인과 결혼해 자녀 6명을 뒀고, 이 중 2명은 의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9-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