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뉴욕·뉴저지 등 대응 최하위
완전 봉쇄로 경제·교육 더 피해


12일 시카고대 연구팀이 내놓은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평가 보고서 ‘미국 각주의 코로나19 대응’에 따르면 2020년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확진자가 최고치를 찍었을 당시 경제봉쇄를 피했던 유타주가 경제 부문 4위, 교육 부문 5위, 보건 부문 8위 등으로 종합 점수 1위에 올랐다. 네브래스카와 몬태나가 2위와 3위였다.
대형 주로는 6위에 오른 플로리다가 눈에 띈다. 보건 부문에서 28위였지만 경제와 교육 부문에서 각각 13위, 3위였다. 공화당 소속의 극우정치인 론 드산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지난해 4월 “봄방학 휴가철을 맞아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싶다”고 말해 민주당의 반발을 산 지역이다.
반면 감염병에 맞서 지역의 문을 걸어 잠갔던 뉴욕, 워싱턴DC, 뉴저지 등의 코로나 대응점수는 오히려 49위, 50위, 51위로 최하위였다. 뉴욕과 뉴저지는 주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였고 워싱턴DC는 교육 부문에서 최하위였다. 섬 지역인 하와이는 완전 봉쇄로 인명피해가 가장 적어 보건 부문에서 전체 1위였지만 경제 부문은 51위, 교육 부문은 46위로 전체 39위에 그쳤다.
이번 연구는 보건·교육·경제 세 가지 측면에서 피해 상황을 종합 분석해 대응책을 평가한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밀집된 주거·직장 환경이 대부분인 대도시의 경우 코로나19 초기 사망자가 급증해 봉쇄를 피할 수 없었다는 반론도 나온다. 종합점수 상위 10위 중 대형 주는 플로리다가 유일하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2022-04-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