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명 규모 만찬에 초대받아
MS·씨티·엑손 대표까지 결집

연합뉴스

사티아 나델라(왼쪽), 일론 머스크(오른쪽).
연합뉴스
연합뉴스
APEC 기간에 열리는 CEO 정상회의 일정도 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수백명 규모인 시 주석과의 만찬에도 초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만찬에서는 비교적 자유롭게 시 주석과 대화할 기회가 있어 그동안 위축됐던 중국 사업을 확대하는 계기를 만드는 데 효과적이다. 이 때문에 만찬 티켓을 확보하거나 대기자 명단에 오르려는 경쟁도 치열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동안 미중 관계 경색 속에 정보통신을 비롯해 석유·가스, 금융 등 여러 분야 미 기업들은 관세와 수출입 규제, 세무 조사 등으로 인해 중국 내 사업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시 주석은 CEO들에게 중국이 여전히 개방적이며 경제 부양 노력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CEO들은 미 정부 제재에도 중국이 중요 시장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플로리다 국제대 경영학과 댄 프루돔 조교수는 “CEO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기업들은 현재 미중 갈등의 표적이 아닌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을 시 주석에게 알리면서 설득하고 싶어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엑손은 광둥성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석유화학 공장 건설 허가를 받은 상태이고 중국에서 차단됐던 소셜미디어 앱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는 가상현실 헤드셋, 스마트 안경 판매를 위해 중국 최대 게임업체 텐센트와 손잡고 있다.
2023-11-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