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크림에 베이컨 토핑” 멋대로 주문 맥도날드, 결단 내렸다

“아이스크림에 베이컨 토핑” 멋대로 주문 맥도날드, 결단 내렸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6-22 21:40
업데이트 2024-06-22 2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한 맥도날드 매장 간판. 2017.4.24 AP 연합뉴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한 맥도날드 매장 간판. 2017.4.24 AP 연합뉴스
미국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인 맥도날드가 IBM과 손잡고 야심 차게 도입했던 ‘드라이브스루 인공지능(AI) 주문’ 서비스를 접기로 했다. 주문 오류가 잦은 데다 결국 직원이 개입해야 하는 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최근 영국 BBC 등 외신은 맥도날드가 드라이브 스루 매장 100여곳에 도입했던 AI 주문 서비스를 다음 달 26일 종료한다고 전했다.

AI 서비스 도입 당시부터 크리스 켐프친스키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는 “직원은 주문 5건당 1건꼴로만 개입할 것”이라며 성공에 자신감을 보였다. 웬디스, 타코벨 등 다른 패스트푸드 업체들도 AI가 인건비를 아끼고 고객에게 ‘비싼 메뉴’를 적극적으로 추천해 매출을 늘릴 것이라 기대하며 맥도날드의 뒤를 따랐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성과는 한참 못 미쳤다. 여기에 웃음거리로 전락한 주문 영상 때문에 결국 결단을 내리게 됐다.
이미지 확대
맥도날드 AI와 싸운다는 자막이 달린 틱톡 영상
맥도날드 AI와 싸운다는 자막이 달린 틱톡 영상
최근 소셜미디어(SNS)에는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에서 AI가 부정확하게 알아들은 주문을 고치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동영상들이 여러 차례 올라왔다.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서 화제가 된 영상에서 한 여성 고객은 물과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주문했는데 버터와 커피크림이 추가됐다. 또 다른 인기 동영상에는 AI가 맥너겟 주문 개수를 240개, 250, 260개 등으로 잘못 알아듣는 탓에 두 친구가 “그만! 그만해”라고 말하며 웃는 모습이 담겼다.

또한 AI가 주문받은 아이스크림에 베이컨을 토핑으로 추가하는가 하면 아이스티 1개를 주문한 고객에게 9개를 주문한 것처럼 주문 명세서를 내는 모습 등이 담기기도 했다. 이러한 오류가 이어지자 맥도날드는 지난 13일 내부 이메일을 통해 IBM과 협업을 종료하고 드라이브 스루 매장에서 AI 시범 사업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BBC는 “사람들이 처음에 우려했던 문제였던 AI가 식당 종업원을 대체한다는 것이 간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했다. 그럼에도 맥도날드 측은 “AI 기술은 여전히 식당의 미래라고 확신한다”고 밝히며 조만간 구글의 업무 지원용 챗봇 ‘애스크 피클’을 도입해 또 다른 AI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