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색으로 태어나 뉴질랜드인의 사랑 받은 키위 세상 떠나

흰색으로 태어나 뉴질랜드인의 사랑 받은 키위 세상 떠나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2-29 08:17
수정 2020-12-29 08: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뉴질랜드의 나라새 키위는 보통 회갈색 털을 지닌다. 과일 키위가 그 이름을 얻은 것도 보통 ‘북섬 브라운 키위’라고 불리는 이 새의 색깔과 비슷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런데 2011년 5월 1일 뉴질랜드 북섬 와이라라파 푸카하 산 브루스 국립야생센터에서 희귀한 흰색 키위가 태어났다. 마누쿠라(Manukura)라고 이름 붙여진 암컷이었다. 무게 250g으로 태어난 마누쿠라는 지난해 5월 리틀베리어섬에서 데려온 키위새들 사이에서 태어났다. 백변종(알비노)은 아니었다.

희귀한 새가 태어나자 사람들의 관심이 쏟아졌다. 어린이 책에 등장하고 전세계에서 마누쿠라의 모양을 본뜬 장난감이 팔릴 정도로 유명해졌다.

그런데 이 마누쿠라가 지난 27일 세상을 떠났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영국 BBC가 전했다. 그 새의 페이스북 계정은 “진짜 친구 마누쿠라를 잃었음을 알리게 돼 매우 슬프다”는 글이 올라왔다. 공원 레인저 요원들과 수의사들이 평화롭게 잠든 그를 지켜봤다고 했다.

마누쿠라가 태어난 뒤 이듬해까지 두 마리의 흰색 키위가 더 태어났다. 그녀는 처음에는 수컷 판정을 받았지만 나중에 암컷으로 바로잡혔는데 그 점이 그녀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센터 측은 야생에 풀어주면 공격받기 쉽다며 그동안 죽 실내 공간에서 돌봐왔다.

환경보호 운동가들과 팬들이 추모의 글을 소셜미디어에 잇따라 올리고 있다. 유명 어린이책 작가이며 직접 찾아 지켜본 뒤 책 ‘마누쿠라 흰색 키위’를 쓴 조이 코울리는 뉴질랜드 헤럴드 인터뷰를 통해 “난 마누쿠라의 특별함과 모든 아이들의 각별함을 연결시키는 일을 즐겁게 했다”며 애도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