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업무보고 때 20번 언급
중국 양회(兩會, 전국정치협상회의·전국인민대표대회)의 키워드가 ‘개혁’에서 ‘안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산업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환경, 식약품 등 국민 건강을 해치는 위험 요소들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가운데 공공 안전과 국가 안보 등 국내외 안전 문제까지 불안해진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지난 5일 정부 업무보고 발표에서 ‘안전’을 20차례 언급했다고 친중국계 성향의 홍콩 매체 대공보가 7일 보도했다. 단골 메뉴인 ‘개혁’이 77차례로 가장 많이 거론됐으나 경제 부문에만 치중된 반면 ‘안전’은 전 분야에 걸쳐 핵심으로 등장한 데다 이번 양회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주제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전인대 최대 이슈는 스모그를 중심으로 하는 환경 안전과 ‘3.1 쿤밍(昆明) 기차역 테러’ 등이 촉발한 공공 안전이다.
리 총리는 ‘전쟁 선포’라는 자극적인 표현까지 사용해 가며 스모그 퇴치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지난 6일 개혁·개방의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개혁의 선봉인 광둥(廣東) 지역의 전인대 대표단을 만난 자리에서 “(광둥 중남부 대표 공업지대인) 주장(珠江) 삼각주 지역의 PM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 먼지 농도) 수치는 어떠한가” 등을 물으며 스모그 문제를 집중 논의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리 총리는 보고에서 원본에 없던 쿤밍 기차역 테러 사건을 규탄하며 테러 분자를 엄단하겠다고 목청을 높였다.
인터넷 안전도 이슈다. 중국의 인터넷 정책을 총괄하는 인터넷안전소조를 출범시켜 최고 사령탑을 맡은 시 주석은 전인대 위원들을 만나 “인터넷 안전은 국가 안전 및 발전과 직결된다”며 체제 보장을 위해 인터넷 안전에 심혈을 기울이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아울러 영토 분쟁으로 주변국들과 잦은 충돌을 벌이면서 국방 안보도 주요 관심사가 됐다. 전인대 푸잉(傅塋) 대변인은 지난 4일 중국의 과도한 국방력 증강 지적에 대해 “도발당하면 반드시 보복한다는 게 원칙”이라며 불퇴전의 의지를 피력했다. 한창푸(韓長賦) 농업부장(장관)은 지난 6일 전인대 기자회견에서 ‘유전자변형(GM) 식품의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당국이 GM 식품에 대한 검사를 엄격히 하고 있고, 나도 현재 콩기름 등 GM 식품을 먹는다”며 식품 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완화하는 데 주력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3-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