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 이례적 공개… 시진핑, 좌파에 경고 메시지 보낸 듯”
‘중국 개혁·개방의 총설계사’로 불리는 덩샤오핑(鄧小平)이 문화대혁명(문혁·1966~1976년) 초기에 마오쩌둥(毛澤東) 전 국가주석에게 “문혁의 범위를 좁혀야 한다”는 편지를 보낸 사실이 처음 공개됐다. 덩샤오핑이 문혁에 비판적인 입장이었던 것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구체적인 발언 내용이 소개된 것은 이례적이다.

덩샤오핑(왼쪽)-마오쩌둥(오른쪽)
당시 경제·산업을 관장하던 국무원 부총리로서 문혁이 대약진운동(1958~1960년)으로 피폐해진 중국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축소 시행을 건의한 것이다. 그러나 마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덩샤오핑은 그해 10월 당 정치국확대회의에서 문혁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가 공개 비난을 받기 시작했고, 이듬해 3월 마오가 정적으로 생각한 류사오치(劉少奇) 당시 국가주석과 함께 주자파(走資派)로 몰려 실각했다. 문헌은 또 덩샤오핑이 대약진운동 직후인 1961년 3월 당 중앙서기처 회의에서 “대약진운동 실패 이후 우리가 얻은 교훈은 실사구시(實事求是)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대약진 당시 당국이 생산 현장에 대한 조사를 충분히 하지 않아 생산 목표량을 달성했다는 허위보고를 알아채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마오도 이 점을 반성했다”고 말했다.
마오는 1960년 대기근을 초래한 대약진운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류사오치에게 국가주석직을 넘긴 뒤 2선으로 물러났다. 이듬해인 1961년 덩샤오핑은 류사오치와 함께 흑묘백묘(黑猫白猫)론을 내세워 실용주의 경제 노선을 채택했으나 마오가 이를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여기면서 둘 사이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과학원 출신의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문혁, 대약진 등 마오의 과오가 이전보다 크게 부각된 모양새”라면서 “문혁에 대한 나쁜 기억이 있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등 훙얼다이(紅二代·혁명 원로의 후손) 집권 세력이 덩샤오핑 탄생일을 계기로 ‘좌파로 쏠리는 움직임은 용납하지 않겠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8-2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