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지도자로 11년 만에 처음 방문
중국과 몽골이 양국 외교 관계를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다.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지난 21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2일 보도했다. 11년 만에 이뤄진 중국 최고지도자의 방문에 맞춰 양국 관계가 기존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서 한 단계 높아진 것이다.
중국은 공동성명에서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걸맞게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개최국으로서 몽골의 APEC 가입을 지지하고 몽골의 강점인 자원 개발을 위한 자금 및 기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명시했다. 항구가 없는 내륙국인 몽골 측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자국의 화동·동북 지방 항구도 개방하는 한편 양국 간 무역액을 현재 60억 달러에서 2020년까지 100억 달러로 확대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중국의 이 같은 호의는 미국을 겨냥한 전략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미국과의 군사협력을 강화해 온 몽골이 미국의 ‘중국 억제’ 전략에 동조하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몽골은 대외수출의 90% 이상을 중국에 수출할 만큼 경제적으로는 중국에 의지하지만 외교적으로는 ‘제3 이웃국’ 정책을 내세워 미국과의 관계 강화에 몰입해 왔다. 몽골 군 육성에 100만 달러를 투자한 미국은 매해 몽골에 200만 달러에 달하는 군수 물자도 지원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이 ‘중국 봉쇄’를 위해 궁극적으로 몽골에 미군을 주둔시키려 한다고 보고 있다.
시진핑의 이번 방문은 몽골에 밀착하는 일본을 견제하는 의미도 있다. 특히 몽골은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원하는 티베트와 함께 라마 불교를 숭상하는 친티베트 성향인 데다 분리·독립을 위한 테러가 빈발하는 중국 신장(新疆)과도 국경을 맞대고 있다.
중국 입장에서는 국가 안전을 위해서도 몽골을 중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양국은 공동성명에서 제3국이 자국 영토를 이용해 상대국을 겨냥한 주권 훼손에 나서는 것을 불허한다고 명기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8-2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