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에 설치하는 비데를 중국인들은 마퉁가이(馬桶蓋)라고 부릅니다. 우리말로 ´변기 뚜껑´인 셈입니다. 요즘 중국에선 이 ‘변기 뚜껑’ 논쟁이 무척 뜨겁습니다.
중국중앙TV(CCTV)의 며칠 전 보도가 발단이 됐습니다. CCTV는 일본산 비데를 싹쓸이하는 중국관광객(遊客·유커)들의 행태를 보도했습니다. 보도를 보면 버스에서 내린 중국 쇼핑객들이 일본 아키하바라 지역 면세점에 들어가 한 개에 2000위안(약 35만원) 정도 하는 비데를 2~3개씩 사는 장면이 나옵니다. 소비 수준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전기밥솥, 화장품 사재기에서 더 나아가 비데까지 사모으는 겁니다.
보도가 나가자마자 인터넷은 들끓었습니다. 반일감정이 팽배한 데다 비데의 용도까지 겹쳐져 댓글엔 비속어가 넘쳐납니다. “일본 비데가 그렇게 좋으면 이민 가서 일본 사람이 되라”는 정도가 점잖은 댓글입니다. “국산 스마트폰과 자동차를 애용해 일본을 이긴 한국인을 배워야 한다”는 댓글도 눈에 띕니다.
언론매체들의 논조도 갈립니다. 중시전자보(中時電子報)는 “변기와 비데의 크기가 맞지 않아 변기를 통째로 바꾸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며 비데 사재기를 비판했습니다. 반면 중국청년보(中國靑年報)는 “감정에 치우친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시대착오”라고 주장했습니다.
‘변기 뚜껑’ 논쟁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따로 있습니다. 대부분의 댓글과 보도의 결말은 “일본보다 더 좋은 비데를 만들자”입니다. 항공우주 분야에서도 세계 첨단을 달리는데 그까짓 비데나 전기밥솥, 화장품쯤은 우리가 결심만 하면 더 좋게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곳곳에서 묻어납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시장·기술 맞교환’ 전략을 구사했습니다. 시장을 줄 테니 기술을 달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번 논쟁에서 보듯 ‘시장·기술 동시 보유’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산 비데와 화장품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중국이 무능해서라기보다 그동안 소비자들이 이런 제품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 중국 소비자들의 눈높이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중국 기업이 이들의 눈높이를 만족시키는 날, 우리 기업은 어찌 될까요?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중국중앙TV(CCTV)의 며칠 전 보도가 발단이 됐습니다. CCTV는 일본산 비데를 싹쓸이하는 중국관광객(遊客·유커)들의 행태를 보도했습니다. 보도를 보면 버스에서 내린 중국 쇼핑객들이 일본 아키하바라 지역 면세점에 들어가 한 개에 2000위안(약 35만원) 정도 하는 비데를 2~3개씩 사는 장면이 나옵니다. 소비 수준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전기밥솥, 화장품 사재기에서 더 나아가 비데까지 사모으는 겁니다.
보도가 나가자마자 인터넷은 들끓었습니다. 반일감정이 팽배한 데다 비데의 용도까지 겹쳐져 댓글엔 비속어가 넘쳐납니다. “일본 비데가 그렇게 좋으면 이민 가서 일본 사람이 되라”는 정도가 점잖은 댓글입니다. “국산 스마트폰과 자동차를 애용해 일본을 이긴 한국인을 배워야 한다”는 댓글도 눈에 띕니다.
언론매체들의 논조도 갈립니다. 중시전자보(中時電子報)는 “변기와 비데의 크기가 맞지 않아 변기를 통째로 바꾸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며 비데 사재기를 비판했습니다. 반면 중국청년보(中國靑年報)는 “감정에 치우친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시대착오”라고 주장했습니다.
‘변기 뚜껑’ 논쟁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따로 있습니다. 대부분의 댓글과 보도의 결말은 “일본보다 더 좋은 비데를 만들자”입니다. 항공우주 분야에서도 세계 첨단을 달리는데 그까짓 비데나 전기밥솥, 화장품쯤은 우리가 결심만 하면 더 좋게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곳곳에서 묻어납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시장·기술 맞교환’ 전략을 구사했습니다. 시장을 줄 테니 기술을 달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번 논쟁에서 보듯 ‘시장·기술 동시 보유’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산 비데와 화장품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중국이 무능해서라기보다 그동안 소비자들이 이런 제품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 중국 소비자들의 눈높이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중국 기업이 이들의 눈높이를 만족시키는 날, 우리 기업은 어찌 될까요?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2-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