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치프라스 총리와 통화… 그리스에 전폭적인 지원 약속
중국이 미국 및 유럽연합(EU)의 지원을 애타게 기다리는 국가들만 골라서 ‘족집게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이슬라마바드 AP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 도착한 왕이(앞줄 왼쪽) 중국 외교부장이 사르타지 아지즈(오른쪽) 파키스탄 국가안보외교 고문과 악수하고 있다.
이슬라마바드 AP 연합뉴스
이슬라마바드 AP 연합뉴스
BBC중문망은 전화통화의 ‘타이밍’에 주목했다. 독일이 주축인 유로존 채권단과의 채무 조정 협상에서 벼랑 끝 협상을 벌이고 있는 그리스는 며칠 전 “유로존 탈퇴도 불사할 것이며, 다른 지원국을 찾아볼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날 통화로 ‘다른 지원국’은 중국임이 확실해졌고, 중국도 그리스의 파산을 지켜보지 않을 것을 분명히 했다. BBC중문망은 “그리스가 유로존을 벗어나 중국의 품에 안길 가능성은 적지만, 중국은 그리스와 EU의 힘겨루기를 활용해 피레우스항과 같은 경제적 이권은 물론 유럽에서의 정치·외교적 힘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설중송탄’(雪中送炭·눈 오는 날 땔감을 보내 줌) 외교는 서방의 대표적 ‘아킬레스건’인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파키스탄을 방문 중인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장관)은 1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탈레반 반군 간 평화협상을 중재할 용의가 있다”며 “무엇이든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0월 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중국부터 방문했다. 이에 중국은 2억 4500만 달러 규모의 원조를 약속하고 아프간 내 석유와 구리 채굴권을 획득했다.
미군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군은 지난해 12월 탈레반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선언한 뒤 철군했지만, 아프간은 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미군과 나토군의 주둔 연장을 강력히 요청했다. 이런 사정을 염두에 둔 듯 왕 부장은 “나토군의 임무가 끝난 만큼 수십 년의 혼란과 빈곤에도 종지부를 찍을 때가 왔다”면서 “우리는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이 화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2-1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