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남조선 선배 덕에 기사 잘 냈습네다” 中 전인대서 만난 두 명의 북한 기자

[World 특파원 블로그] “남조선 선배 덕에 기사 잘 냈습네다” 中 전인대서 만난 두 명의 북한 기자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3-06 22:56
업데이트 2016-03-06 2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개막하는 매년 3월 5일 새벽이면 중국에 상주하는 전 세계 기자들이 인민대회당 앞에서 ‘줄 서기 전쟁’을 벌인다. 총리가 낭독하는 ‘정부 업무보고’ 문건을 빨리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 문건에는 경제성장률 목표치 등 중국의 한 해 청사진이 나와 있다. AP와 같은 통신사나 블룸버그 등 경제 매체들은 아예 전날 밤부터 대기한다. 성장률 목표치를 가장 빨리 타전하기 위한 ‘1초 특종’ 경쟁인 셈이다.

토요일이었던 올해도 예외가 아니었다. 아직 컴컴한 6시 30분인데도 줄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한국 기자들이 줄을 서는 이유는 한국어(조선어)본이 너무 적기 때문이다. 문건은 중국어본 외에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랍어, 한국어본이 있는데, 유독 한국어본 문건은 70여부에 불과해 빨리 동난다. 중국 정부가 유일하게 한국어로 발표하는 문건이라 공신력이 높고, 전자파일로는 공개되지 않아 확보에 실패하면 난감한 상황에 빠진다.

서두른 덕택에 올해는 한국어본 두 부를 챙겼다. 느긋한 마음으로 일독하고 있는데 말끔한 정장 차림의 기자 두 명이 말을 걸었다. 북한 억양에 불안감이 가득한 목소리였다. “혹시, 조선어본 한 부 더 있으면 나눠 줄 수 있습네까”라는 부탁에는 간절함이 묻어났다. “너무 늦게 오셨네요”라고 하니 “한 발 늦었습네다”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가방에 넣어 두었던 다른 한 부를 슬쩍 꺼내 보였다. ‘이젠 살았구나’라는 표정을 지었다. “저보다 선배인 거 같은데, 이렇게 도움을 주니 참 고맙습네다”라며 연방 고개를 숙였다. 문건을 주는 대신 명함을 달라고 했더니 선뜻 꺼내 주었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기자였다.

6일 이들과 통화를 했다. “남조선 선배님 덕분에 기사 송고 잘했다”며 고마워했다. 남북 상황을 묻지도 않았는데 “너무 민감한 시기라 편하게 만날 수도 없다”며 안타까워했다. 정말 편하게 만날 수 있는 날이 오면 다른 얘기는 다 빼고 기자 생활에 대해서만 두런두런 얘기하고 싶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3-07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