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불량 백신 유통…커지는 은폐 의혹

中 불량 백신 유통…커지는 은폐 의혹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3-23 22:02
업데이트 2016-03-23 2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범 잡힌 지 1년 지나 사건 공개…리 총리 “전모 밝히고 일벌백계”

중국이 불량 백신 공포에 떨고 있다. 전국 병의원에서 냉장 보관되지 않고 유효기간까지 지난 백신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주범이 잡힌 지 1년이 지나서야 사건이 밝혀져 은폐 의혹까지 불거졌다.

리커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리커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23일 불량 백신 유통 사건과 관련해 “약품 관리의 큰 구멍이 드러났다”면서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 위생계획생육위원회, 공안부 등은 오는 주말까지 사건의 전모를 파악해 인민들에게 소상히 밝히고 관련자 전원을 일벌백계하라”는 긴급 지시를 내렸다. 최고인민검찰원은 산둥성 공안국이 맡아 온 이 사건을 직접 수사하기로 했다. 총리가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은 부모들 사이에서 “수입 백신이 아니면 아기 예방접종을 할 수 없다”는 등 중국 약품 관리 체계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지난 18일 온라인 매체 펑파이가 산둥성 의사 출신 팡(龐)씨 모녀가 2010년부터 저온 보관 규정을 지키지 않은 5억 7000만 위안(약 1000억원) 규모의 불량 백신을 중국 24개 성·시에 유통해 온 사실을 폭로하면서 드러났다. 산둥성 공안 당국은 팡씨 모녀에게 백신 원료를 납품하거나 백신을 구매해 유통한 300여명의 명단을 공개했으며 이 중 40명을 붙잡아 조사하고 있다. 팡씨의 창고에서는 어린이용 뇌막염, 수두, 소아마비 백신과 성인용 유행성독감 등 총 25종의 백신 100여 상자가 발견됐다.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은 “백신의 생산 과정에선 문제가 없었던 만큼 백신을 맞았다고 해서 부작용이 크지는 않다”면서 “다만, 항체 생성 효과가 없기 때문에 정부가 지정한 병의원에서 새로운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들은 “못 믿겠다”는 반응이다. 더욱이 팡씨 모녀가 이미 지난해 4월 검거된 것으로 드러나 정부가 이를 은폐하려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에서 약품 감독을 책임지고 있는 쑨셴쩌(孫咸澤) 부국장(차관급)이 2008년 멜라민 분유 파동 당시 식품 감독을 담당한 장본인이어서 그를 해임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3-24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