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서 시진핑 ‘구동존이·음수사원’ 언급…속뜻은?

한중 정상회담서 시진핑 ‘구동존이·음수사원’ 언급…속뜻은?

이승은 기자
입력 2016-09-05 17:27
업데이트 2016-09-05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중인 박근혜(왼쪽) 대통령이 5일 오전(현지시간) 중국 항저우 서호(西湖) 국빈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5일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의 한중 정상회담에서 ‘구동존이’(求同存異)와 ‘음수사원’(飮水思源)이라는 사자성어를 언급해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위 두 사자성어를 언급한 것이 한일 접근 및 한미일 공조에 대한 우려와 견제, 한중 밀월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 등을 담은 메시지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구동존이’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같은 점을 먼저 찾는다’는 뜻으로, 통상적으로 미국을 비롯해 체제와 가치관이 확연히 다른 서방국가와 관계 개선을 추진할 때 자주 사용돼 온 표현이다.

특히 구동존이라는 말이 통상적으로 ‘우리 편’이라고 보기 어려운 나라에 사용하는 표현이란 점에서 시 주석이 이 말을 사용한 배경을 놓고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 주석이 취임 후 박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구동존이’를 거론하고 중국이 이런 사실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로 한중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와중에 한일은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상황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12월 한일 군위안부 합의가 최근 본격 이행됨으로써 한일관계 개선이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이다.

나아가 북한 핵·미사일 도발 속에 한미일 안보 공조가 진전되는 상황에 대한 경계심과 사드 문제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여지도 있었다.

음수사원은 ‘물을 마실 때 그 물이 어디에서 왔는지 생각한다’는 뜻으로 중국 남북조시대의 시인 유신(庾信·513~581)이 패망한 조국 양(梁) 나라를 그리워하며 쓴 ‘징조곡(徵調曲)’에서 나온 구절이다.

‘근원을 생각하고 그에 감사하라’는 의미를 공식적으로 거론한 것이다.

회담에서 시 주석이 “일본의 침략”을 거론한 점, 중국이 독립운동 지도자 김구 선생을 도운 사실 등을 소개한 점도 이 같은 분석에 힘을 싣는다.

항일의 역사를 공유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중국의 인연을 강조함으로써 한일간의 접근에 견제구를 던진 셈이다.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은 ‘음수사원’의 의미에 대해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한국의 번영에 중국이 기여했다는 의미를 담았거나 한국 현 정부의 근간인 임시정부에 대한 중국의 지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한 전문가는 ‘구동존이’의 의미와 관련, “한중간 일부 사안에 대한 이견이 있음에도 공통점을 확대하자는 의미로 쓴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이 통상 다른 나라와 관계를 잘 해보자는 의미로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드와 연관지어 지나친 의미부여를 할 필요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