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中과의 관계… 노르웨이는 백기투항, 몽골은 치고 빠지기

[world 특파원 블로그] 中과의 관계… 노르웨이는 백기투항, 몽골은 치고 빠지기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12-21 22:38
업데이트 2016-12-22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자의 복수는 10년 지나도 늦지 않다.”(君子報讐十年不晩)

이 속담처럼 중국의 보복은 집요하다. 최근 노르웨이와 몽골이 무릎을 꿇었다. 노르웨이는 2010년 중국의 반체제 인권운동가 류샤오보(劉曉波)의 노벨 평화상 수상 때문에 중국과 외교·경제 관계가 끊겼다. 몽골은 지난달 18일 달라이 라마의 방문을 허용했다가 호된 보복을 당했다. 보복 이유는 국가 통일성 유지라는 ‘핵심 이익’을 건드렸다는 것이었지만, 보복 방식과 상대국의 대응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류샤오보에게 평화상을 준 노벨위원회는 노르웨이에 본부가 있지만, 노르웨이 정부로부터 독립된 단체이다. 그러나 당시 중국은 노르웨이가 중국 체제를 흔들려고 한다고 판단했다. 연어 등 노르웨이산 수산물이 중국 시장에서 퇴출당했고, 비자 요건이 강화됐다. 이탈리아, 네덜란드, 독일, 영국, 덴마크 등이 중국의 ‘해상 실크로드’에 올라타는 모습을 노르웨이는 6년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지난 19일 중국과 노르웨이가 관계 정상화를 선언하며 내놓은 공동성명을 보면 노르웨이가 ‘백기 투항’했음을 알 수 있다. 노르웨이는 “6년 전 노벨상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한다”면서 “중국의 핵심 이익을 건드리지 않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강력하게 지지할 것”이라고 맹세했다. 연어 수출길이 다시 열린 노르웨이 수산업협회는 “최고의 크리스마스 선물”이라며 감격했다.

지난달 18일 달라이 라마의 방문을 허용했던 몽골도 중국으로부터 통행료 부과, 금융지원 중단 등의 보복을 받다가 21일 결국 사과했다. 몽골 외교부는 “앞으로 달라이 라마의 입국을 허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몽골의 사과를 ‘치고 빠지기’로 보고 있다. 이전에도 무려 8차례나 달라이 라마 방문을 허용하고 사과한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몽골 불교가 티베트 불교의 한 분파이고, 몽골의 불교 신자들이 달라이 라마를 추앙하고 있어 몽골 정부가 내치를 포기하지 않는 한 달라이 라마와의 관계를 끊을 수도 없다.

그런데도 중국이 ‘상습범’인 몽골과 외교·경제적 관계를 단절하지 않는 이유는 지정학적 가치 때문이다. 4700㎞의 국경선을 맞대고 있는 몽골과의 관계 단절은 중국에도 큰 타격이 된다.

중국은 한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도 ‘핵심 이익’ 침해로 규정했다. 실제 사드가 배치되면 지금보다 훨씬 강한 보복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사드는 류샤오보나 달라이 라마처럼 이념·종교의 문제가 아니라 실체가 확실한 무기 배치의 문제이다. 더욱이 한국이 사과할 일도 아니고, 배치 철회가 아닌 이상 중국이 사과를 받아들일 성질의 것도 아니다. ‘백기 투항’이나 ‘치고 빠지기’보다 훨씬 어려운 해법을 찾아야 한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12-22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