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신에 코로나 백신 공개… “전 세계 공공재로 쓸 것”

中, 외신에 코로나 백신 공개… “전 세계 공공재로 쓸 것”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9-24 21:00
수정 2020-09-25 07: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내외에 중국산 백신 안전성 홍보 의도
美CDC “내년 4월까지 백신 준비” 번복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이 오는 11월 일반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나서겠다고 공언한 데 이어 자국산 백신을 공개했다.

중국 제약사 시노백은 24일 외신들을 베이징 자사로 불러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생산, 국제 협력 상황을 설명했다. 이번 행사는 중국의 백신 개발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대내외에 중국산 백신의 안전성을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영국 등 제약사의 백신 임상 과정에서는 부작용이 연이어 보고된 반면, 중국산 백신은 이런 사례가 공개된 적이 없는 것을 놓고 서구 언론들이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한 대응 차원이다.

이날 행사에서 시노백 담당자는 코로나19 백신을 소개하고 품질 제어 실험실 등도 공개했다. 시노백 대변인은 “우리는 올해 말 코로나19 백신 사용 승인이 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시노백은 브라질과 인도네시아에서 백신 시험 마지막 단계인 3상 임상시험을 시작했으며 터키, 동남아 등지에서도 임상시험을 하고 있다. 시노백 측은 “임상 중인 백신 접종 건수가 10만건을 넘었으나 아직 부작용 사례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3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화상회의에서 “중국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완성돼 사용할 경우 전 세계 공공재로 사용하겠다”고 약속하며 “이를 통해 개도국에도 도움을 주겠다.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서도 경험을 나누고 필요한 국가들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발병과 세계 확산에 따른 ‘중국 책임론’에서 벗어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도권을 잡기 위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한편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로버트 레드필드 국장은 23일 상원 의회 청문회에서 “내년 3월 말이나 4월까지는 백신이 (미국인 모두 맞을 수 있는 분량인) 7억회 정도 준비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6일 레드필드 국장은 미국인의 백신 이용 가능 시기를 내년 2분기 후반이나 3분기로 예상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백신을) 전국에 즉시 배포할 준비가 됐다”고 반박하자 말을 바꾼 것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9-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