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때린 마윈 보복인가… ‘39조원’ 최대 상장 돌연 연기

中 때린 마윈 보복인가… ‘39조원’ 최대 상장 돌연 연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1-04 01:26
업데이트 2020-11-04 08: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마윈 소환해 ‘앤트그룹 규제안’ 전달
홍콩·상하이증권거래소 “IPO 잠정 중단”
‘알리페이’ 금융 지배력 완화 조치 해석
일각 “마윈 中 정책 비판하자 판 깬 듯”

이미지 확대
중국 앤트그룹 설립자 마윈.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앤트그룹 설립자 마윈.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금융 당국이 세계 최대 규모 기업공개(IPO)를 앞둔 앤트그룹의 홍콩·상하이 증시 상장을 돌연 연기했다. 중국의 대표적 결제 수단인 ‘알리페이’를 무기로 금융 지배력이 너무 강해질 수 있어 보완책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지만, 이 회사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가 공개 석상에서 중국의 금융 정책을 비판한 데 대한 ‘보복성’ 조치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홍콩과 상하이 증권거래소는 3일 동시에 공고문을 내 “오는 5일로 예정된 앤트그룹 IPO를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두 거래소는 “이번 결정이 인민은행과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은행관리감독위원회, 외환관리국 4개 규제 당국이 앤트그룹을 실질적으로 통제하는 인사(마윈)를 ‘예약 면담’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예약 면담은 정부 기관이 기업 경영진을 불러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것으로 권위주의 성격이 강하다.

앞서 인민은행은 2일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계정에 “마윈 전 알리바바 회장 등과 예약 면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시중은행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앤트그룹을 사실상 금융 지주회사로 간주해 규제하겠다는 내용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다른 나라들과 달리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무제한 돈풀기’에 나서지 않고 있다. 현 경제 상황이 양호한 데다 이미 천정부지로 치솟은 부동산 가격을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이런 상황에서 앤트그룹이나 텐센트(위챗페이) 같은 ‘초대형 사금융 업체’가 대출을 늘리면 당국이 아무리 은행을 관리·감독해도 소용이 없다. 2일 면담은 마 전 회장에게 개선책을 요구한 자리로 보인다. 중국 경제일보는 “이번 조치(IPO 연기)는 투자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금융 감독 기관의 기본적인 책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중국 최고지도부가 마윈의 최근 발언을 문제 삼아 ‘인류 최대 규모 자금 조달’의 판을 깬 것으로 풀이한다. 지난달 24일 마 전 회장은 상하이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기차역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공항을 운영할 수 없듯 과거의 제도로 미래를 헤쳐 나갈 수 없다”고 강변했다. 이 행사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오른팔’로 불리는 왕치산 국가 부주석과 이강 인민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그가 ‘작심하고 당국을 비판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앤트그룹은 5일 홍콩 증시에, 이달 중 상하이 증시에 상장할 계획이었다. 조달 금액은 345억 달러(약 39조원)로 사상 최대 규모였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0-11-04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