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025년까지 국토 절반서 ‘기후 통제’ 실험

中, 2025년까지 국토 절반서 ‘기후 통제’ 실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2-16 20:22
수정 2020-12-17 04: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英 면적 20배… 인공 강우 시스템 추진
주변국 구름 빼앗겨 물 부족 사태 우려

지난 8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안보회의(NSC) 고위관료들에게 “핵무기로 허리케인을 공격해 미국에 상륙하지 못하게 하자”고 제안해 ‘기후 통제’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중국도 국토의 절반이 넘는 550만㎢에서 기후 변화 실험에 나서겠다고 밝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변국들이 중국에 구름을 빼앗겨 물 부족 사태를 맞을 수 있어서다.

15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최근 중국 국무원이 2025년까지 재해 구호와 농업 생산, 화재 대응, 가뭄 대처 등을 위해 인공강우나 인공강설을 추진하는 ‘기후 변동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밝혔다. 과거부터 중국은 기후 통제에 적극적이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스모그를 줄이고자 대기 중에 ‘구름 씨앗’인 요오드화은을 뿌려 비를 내리게 했다. 2012~2017년 기후 변화 프로그램에 13억 4000만 달러(약 1조 5000억원)를 투자했다.

문제는 국무원의 기후 통제 사업 범위가 너무 넓어 아시아 지역 기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데 있다. 550만㎢는 인도 면적의 1.5배, 영국의 20배나 된다고 가디언은 지적했다. 국립 대만대 연구진은 “중국이 기후 변화 활동을 실패하면 다른 나라에 내릴 비를 뺏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중국에서 기후 통제에 대한 정당성 여부는 논쟁의 대상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고 CNN이 전했다.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인간의 무분별한 행동’을 내버려둔 채 기후 통제 등 공학 기술로 해결하려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유엔에 따르면 전 세계 약 15억명이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의 기후통제 실험은 온실가스 저감 등 인류의 난제에 대한 근본 해결책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0-12-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