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작 엎드린 마윈 “中 당국이 원하면 앤트그룹 넘길 것”

납작 엎드린 마윈 “中 당국이 원하면 앤트그룹 넘길 것”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2-21 20:56
수정 2020-12-22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WSJ “마윈, 지난달 부분 국유화 제안”

지난달 중국 금융 당국이 세계 최대 규모 기업공개(IPO)를 앞둔 앤트그룹의 홍콩·상하이 증시 상장을 돌연 연기해 다양한 추측이 나오는 가운데, 마윈 앤트그룹 창업자가 중국 금융당국에 소환됐을 때 기업 공중분해 등 최악의 상황을 피하고자 이 회사의 ‘부분 국유화’를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기사 내용이 사실이라면 중국 권위주의 통치의 단면을 보여 준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11월 2일 마윈이 인민은행과 증권감독관리위원회 등 4개 감독기관과 가진 웨탄(예약면담)에서 ‘필요하다면 앤트그룹의 어떤 플랫폼도 국가가 가져갈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웨탄은 정부가 감독 기관 관계자를 불러 질책하고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자리다. 그의 ‘설화’로 앤트그룹의 미래가 불투명해지자 눈앞에 닥친 화를 모면하고자 회사 지분 일부를 넘기기로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마윈은 10월 24일 상하이에서 열린 ‘2020 와이탄 금융서밋’에서 “기차역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공항을 운영할 수 없듯 과거의 제도로 미래를 헤쳐 나갈 수 없다”고 토로했다. 당시 행사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오른팔’로 불리는 왕치산 국가 부주석과 이강 인민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그가 ‘작심하고 당국을 비판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성공이 반드시 나에게서 올 필요는 없다” 등 시 주석의 평소 발언을 여러 군데 인용했다. 중국에서 ‘선을 넘었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이후 마윈이 웨탄에서 뒤늦게 용서를 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 금융당국은 앤트그룹 상장을 무기한 연기했고 앤트그룹의 주력 분야가 될 소비자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도 내놨다. 알리바바를 겨냥한 듯 거대 플랫폼 사업자 반독점 방지안 초안까지 공개했다. 그의 말 한마디로 중국 인터넷 업계 전체가 ‘빙하기’로 접어들었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소식통은 WSJ에 “베이징이 마윈의 앤트그룹 부분 국유화 제안을 수용할지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매체는 “최근 중국 정부가 앤트그룹의 지급준비율을 5%에서 30%로 상향 조정하라고 요구했다. 새 규제로 회사 운영이 어려워지면 유상증자 등에 참여해 국유은행 등에 넘기는 시나리오를 구상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롄(유니온페이)도 비슷한 방식으로 국유화됐다. 중국 당국의 한 고문은 “앤트그룹 일부가 국유화될 가능성이 ‘제로’(0)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0-12-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