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인도 국경 軍사령관 교체…양국 갈등 새 돌파구 열리나

中, 인도 국경 軍사령관 교체…양국 갈등 새 돌파구 열리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12-21 20:56
수정 2020-12-22 12: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이 인도와의 국경 분쟁 지역으로 새 사령관을 파견한 것을 두고 인도 언론이 연일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명령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기에 이전 사령관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중국이 과거와 다른 방식으로 갈등을 처리하려는 것 아니냐’는 기대도 숨기지 않는다.

21일 인도 힌두스탄타임스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18일 인민해방군 장성급 인사 4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이들 가운데 장쉬동 중부전구 부사령관이 서부전구 사령관에 지명됐다. 중국은 본토를 5개의 전구(戰區)로 나누는데, 이 가운데 서부전구는 중국 전체 면적의 절반, 인구의 22%, 육군의 35%를 차지한다. 현재 서부지구 사령관의 가장 큰 책임은 4000㎞에 달하는 인도와의 국경 분쟁을 관리하는 일이다.

그간 장 사령관은 북한과 러시아 등 동쪽 국경을 담당하는 북부전구에서 주로 일했다. 티베트나 신장 지역 등 서부전구 경험이 전무하다. 중국 공산당은 이번 인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인도 언론들은 그가 갑자기 인도와의 국경을 맡게 된 것에 의아해하고 있다.

인디아투데이는 “장 사령관을 서부전구 사령관에 임명한 것으로 볼 때 당분간 두 나라 간 긴장이 쉽게 완화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야 한다”면서 “그가 분쟁 지역에서 스스로 판단해 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인도 언론은 이번 인사에 대한 기대를 접지 않고 있다. 올해 6월 인도와 중국의 군사충돌로 1975년 이후 45년 만에 사망자가 발생한 라다크 지역은 서부전구에 속해 있다. 중국 입장에서 이곳은 전쟁 지역이다. ‘전쟁 중에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있듯 충돌 상황에서 장성급 인사를 단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시 주석은 서부 전구 경험이 없는 장 사령관을 전격 기용했다. 교착 상태에 빠진 두 나라 간 영토 분쟁에서 지금과는 다른 해법을 찾아보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0-12-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