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게임 판호 발급… 亞 게임 사전 포석?

中 게임 판호 발급… 亞 게임 사전 포석?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04-13 20:38
수정 2022-04-14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개월 만에 자국게임 신규 발급
e스포츠 키운다며 산업엔 철퇴
이중잣대 비판 감안한 조치인듯
韓게임 발급 없어 ‘한한령’ 여전

이미지 확대
중국에서 판호(서비스 허가증)를 받고도 출시가 무기한 미뤄진 한국 온라인 게임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넥슨 제공
중국에서 판호(서비스 허가증)를 받고도 출시가 무기한 미뤄진 한국 온라인 게임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넥슨 제공
중국 정부가 오는 9월 열리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을 앞두고 신규 게임 판호(서비스 허가증) 빗장을 열었다. 지난해 7월 말 발급을 중단한 지 8개월여 만이다.

1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내 게임·영화 등을 허가하는 국가신문출판서는 지난 11일 홈페이지를 통해 ‘파티스타’ 등 신규 판호 발급 게임 45개를 발표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매달 80∼100건의 새 게임이 나왔던 것과 비교하면 그 수가 크게 줄었지만, 업계에서는 ‘신규 판호가 발급됐다’는 사실만으로도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간 중국에서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확정할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11월 예정) 전까지는 사회 기강 확립 차원에서 신규 게임을 허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게임은 한중 수교 30주년에도 신규 판호 발급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당국의 ‘한한령’이 여전히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심지어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은 판호를 받았음에도 2020년 8월 중국 론칭을 하루 앞두고 출시가 무기한 연기됐고, 결국 지난달 우리나라에서만 서비스를 시작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7월 22일 이후 아무런 설명도 없이 게임 판호 발급을 중단했다. 8월 초 신화통신 산하 경제참고보는 온라인 게임을 두고 ‘정신적 아편’이라고 비판하자 18살 미만 청소년에게 금·토·일요일과 공휴일 저녁에 1시간만 게임을 할 수 있게 하는 ‘금지령’이 내려졌다. 그런데 다른 쪽에서는 이스포츠를 국기로 육성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영국의 축구나 미국의 야구처럼 한 나라를 상징하는 스포츠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2020년 8월 베이징시는 “세계 이스포츠의 메카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해 11월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에서 중국이 한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자 관영매체들이 이를 중국 공산당의 성과로 치켜세웠다. 특히 중국은 올가을 저장성 항저우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 사상 최초로 이스포츠 종목 8개를 정식 종목에 포함시켰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이스포츠 키우기에 열을 올리는 중국이 정작 자국에서는 게임산업에 철퇴를 가한다’며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여 왔다. 이번 판호 발급은 중국에 제기되는 ‘이중잣대’ 비난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지난달 류허 경제금융 담당 부총리는 “당국의 압박을 받아 온 플랫폼 경제에 대한 개혁을 최대한 빨리 완료할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국가신문출판서의 발표가 정부의 ‘빅테크 규제 완화’ 분위기를 반영했다는 분석도 힘을 얻는다.

2022-04-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