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총재의 경고… “올해 더 힘들어, 세계경제 3분의1 불황 빠질 것”

IMF총재의 경고… “올해 더 힘들어, 세계경제 3분의1 불황 빠질 것”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입력 2023-01-02 20:44
수정 2023-01-02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코로나 재확산에 성장 부정적”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시사한 듯
실업률 낮은 美 경제는 긍정 전망

이미지 확대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로이터 연합뉴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로이터 연합뉴스
세계경제 3대 권역(G3)으로 불리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의 경기 둔화로 올해 세계 경제의 3분의1이 불황에 빠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1일(현지시간) 미국 CBS방송 인터뷰에서 “올해가 지난해보다 더 힘든 한 해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중뿐 아니라 EU의 절반이 침체에 빠지는 등 세계경제의 3분의1이 경기 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이 향후 몇 달간 ‘산불처럼’ 번지면서 전 세계 성장률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짚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향후 몇 달에 걸쳐 중국은 어려울 것이며 글로벌 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40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의 연간 성장이 세계 성장률과 같은 수준이거나 더 밑돌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 발언은 중국과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더 낮춰 잡을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IMF는 지난해 10월 중국 성장률을 2022년과 2023년 각각 3.2%와 4.4%로, 세계경제 성장률을 2022년과 2023년 각각 3.2%와 2.7%로 전망했다. 로이터통신은 “(IMF가) 이달 다보스포럼(16∼20일)에서 중국과 세계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IMF 안팎에서는 세계 성장률이 2%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제시된다. 1970년 이후 이런 기록을 보인 건 코로나19 대유행기였던 2020년(-3.5%)과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6%) 등 다섯 차례였다. 하지만 미국은 낮은 실업률 덕분에 경기 침체를 피해 갈 것으로 전망됐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국 경제를 가리켜 “(현재) 가장 복원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2023-01-0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