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그룹 공동선언문 채택 불구…“구제금융 연장 표현 들어갔다”
그리스 구제금융 재협상이 타결 직전 무산됐다.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의 뻣뻣한 자세 때문으로 알려졌다.12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유로그룹(유로화 사용 19개국 재무장관 협의체)은 야니스 바루파키스 그리스 재무장관과 재협상안을 타결시킨 뒤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으나 바루파키스 장관이 막판에 합의를 취소했다. 공동선언문에 “현행 구제금융 프로그램의 연장”이라는 표현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치프라스 총리는 “구제금융은 없애고 가교프로그램을 만들겠다”는 입장이었고 유로그룹은 “약속 파기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 맞서 왔다. 때문에 이번 합의안은 오는 28일 만기가 돌아오는 1710억 유로의 구제금융을 연장하되 ‘구제금융’과 ‘가교프로그램’이란 두 가지 표현을 모두 다 쓰는 방식을 택했다. 어차피 평행선을 달릴 문제로 계속 싸우느니 일단 눈앞의 불부터 끄자는 것이다. 합의 뒤 유로그룹 재무장관들은 자리를 떴으나 뒤늦게 치프라스 총리의 지시를 받은 바루파키스 장관이 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유로그룹은 비판적인 분위기다. 유로그룹 의장을 맡고 있는 예룬 데이셀블룸 네덜란드 재무장관은 “개인적으로 이번 협상을 잘 타결하고 싶었던 야망이 있었지만 불행히도 그리 되지 못했다”면서 “이렇게 함께 해 나갈 수 있는 공통기반을 없애버린다면 도대체 누가 앞으로 그리스와 함께 일하겠느냐”고 말했다. FT는 “구제금융은 없다는 정치적 구호, 그리고 협상 직전 의회 투표를 통해 신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는 자신감 등이 치프라스를 이렇게 몰고 가고 있다”고 비꼬았다.
한편 중국과 추진하다 치프라스 총리가 취소시킨 피레우스항 민영화 계획도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피레우스항 민영화 계획에 대한 투자를 직접 챙기던 리커창 총리는 이날 치프라스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항의의 뜻을 전했다. 치프라스 총리는 “양국 간 협력 프로젝트의 성격을 변경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지속적인 투자를 요청했다. 만약 탈유럽을 추진한다면 중국은 그리스가 기댈 주요 언덕 중 하나로 꼽힌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2-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