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 감염자, 잘사는 서부보다 훨씬 적어
“낮은 인구밀도, 바이러스 확산 제한시켜
공산주의 체제 영향에 격리 규칙 잘 따라”
인구·해외유입·문화적 차이 등 분석 다양

AFP 자료사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잘 알려진 것처럼 옛 동독 땅에서 태어나 자랐다. 2005년 선거에 출마했을 때의 출마 선전 입간판이다. 그녀는 어린 시절 불편한지 모르고 자라났다고 종종 털어놓곤 했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동독 지역 5개 주는 독일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날 보도했다. 북동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코로나19 감염자는 인구 10만명당 75명으로 독일에서 인구 대비 감염자 수가 가장 적다. 남부 바이에른주의 7분의1에 불과하다. 주도인 슈베린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라이프니츠 연구소의 하조 집 연구원은 “과거 국경선을 따라 이런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고 말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없지만, 동독과 서독 간 경제력 차이라는 해석이 위주를 이룬다. 독일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통일 보고서에 따르면, 동부 지역이 급속히 경제 발전을 이룩하긴 했지만 서부와의 경제적 불균형은 여전하다. 지난해 동독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국가 전체 평균의 79%에 불과했다. 수도 베를린을 제외하면 73%로 떨어진다.
즉 산업이 낙후된 동부는 상대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아 코로나19 확산이 제한됐다는 분석이다. 감염병 대유행 시기에 경제적 불군형이 오히려 이롭게 작용했다는 것이다. 동부 작센안할트주의 행정관인 슈테펜 뵈하르트는 “인구 밀도가 낮은 점이 바이러스 확산을 제한했다”며 “우리는 도시 중심지에서조차 군중이 없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 30년간 동서독 사이 경제적 통합이 진행되어 온 와중에도 인구 변화는 상이했다. 1990년부터 2019년까지 동독 주민 220만명이 직업을 찾아 서부로 떠났다. 작센안할트주는 인구의 4분의1이 사라졌다. 반면 같은 기간 서독에서는 이주를 받아들인 데 힘입어 인구가 540만명이 늘었다.
인구 밀도와 코로나19 상관성에 대한 반론도 나온다. 로스토크,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등 동부 대도시가 같은 인구 규모의 서부 도시들보다 확진자 수가 적다는 점에서다. 로스토크 대학 병리학자인 에밀 라이싱거는 “동부 주민은 해외 여행을 훨씬 적게 한다”며 해외 유입 변수를 주목했다. 동부 주민은 수입이 낮아 호화 휴가에 쓸 비용이 부족한 반면 바이러스의 해외 유입은 늦어 대비할 시간을 충분히 벌 수 있었다는 추론이 나온다.
미묘한 문화적 차이로 바이러스 확산이 제한됐다는 추측도 나온다. 라이싱거는 “공산주의 체제에서 성장한 동부 주민들은 사회적으로 훨씬 내성적 성향을 보이며 (인사할 때) 포옹을 적게 한다”며 “삶에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잘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는 사회적 연구 자료도 있다”고 주장했다. 동독 주민들이 대체적으로 ‘규칙에 순응한다’는 통설이 코로나19 확산을 저지한 결과로 나타난 셈이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0-10-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