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문에라도 함께 있어야죠” ‘연인 비자’로 스웨덴 입국

“코로나 때문에라도 함께 있어야죠” ‘연인 비자’로 스웨덴 입국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2-07 08:48
수정 2020-12-07 08: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인 비자’라는 것이 코로나 시대에 등장했다고 영국 BBC가 6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스웨덴 여성 티나 엘메프잘과 미국인 남성 빅터 프린스는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처음 만났다. 남편과 사별했고, 이혼해 혼자인 몸이었는데 둘은 순례길을 함께 하며 남은 생을 함께하기로 했다. 결혼은 하지 않고, 그렇게 지난 7년을 각자의 삶을 영위하면서도 일년에 석달 정도만 상대의 집을 찾아 지냈다.

그런데 지난 3월 코로나19가 창궐하자 미국과 스웨덴은 국경을 봉쇄하기에 이르렀다. 빅터는 지난해 성탄절을 스웨덴에서 함께 보내고 1월 미국에 돌아와 떨어진 시간이 9개월이 됐다. 코로나 때문에라도 둘이 함께 지내고 싶은 마음이 더 커졌다. 여행 계획을 짰다가 무산된 것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화상 채팅이나 전화 통화로 보고 싶은 마음을 달랬지만 오히려 더 그리움이 사무쳤다.

우연히 유럽연합(EU) 몇몇 나라에서 ‘연인 비자’란 것이 도입돼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오랫동안 사랑을 나눴지만 결혼하지 않은 커플들이 대상이다. 스웨덴은 결혼할 계획이거나 스웨덴 사람과 함께 살 요량으로 영주권을 신청하면 받아주기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빅터는 영주권을 신청하게 됐고, 스톡홀름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었다. 티나는 경찰서에 가서 신청 서류를 작성하면서도 반신반의했다고 털어놓았다. “빅터가 공항에 도착했는데 입국을 거절 당하고 되돌아가면 어떡하나 걱정하기도 했다”면서 “그래도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빅터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짐을 꾸려 스웨덴의 연인 만나러 가는 여정을 모두 카메라에 담았다. 그렇게 해서 지난달 말 상봉했다. 둘은 눈시울을 붉히며 서로 힘껏 껴안았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