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그린란드인’ 실험한다며 가족과 생이별, 생존 6명뿐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헬렌느 티에센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어떻게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졌을까? 그린란드는 지금 덴마크 왕국의 자치령이지만 오래 전부터 많은 것을 덴마크에 의존해왔다. 매년 막대한 교부금을 지원받고 화폐, 외교국방 등을 덴마크에 맡기고 있다.
1951년 덴마크 정부는 이누이트족 아이들을 “어린 덴마크인”으로 키우겠으며 나중에 덴마크와 그린란드의 문화를 연결하는 새로운 그린란드인의 원형을 만들어보겠다는 실험 계획을 세웠다. 교사와 성직자들이 데려갈 아이들을 골라내 부모를 설득하게 했다. “덴마크에 가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고, 나중에 덴마크와 그린란드의 관계를 이끌 롤모델이 될 것”이라면서 주저하는 부모들의 마음을 돌렸다.
이렇게 해서 그해 5월 22명의 아이들이 MS 디스코란 배에 태워져 눅이란 항구를 떠나 코펜하겐으로 향했다. 도착하자 덴마크에 먼저 이주해 살던 친척들과 연락을 하지 못하게 하고 언어 소통에 어려움을 겪자 위탁가족에 입양을 보냈다. 실험은 실패했다.
실패했으면 마땅히 부모에게 연락해 다시 만나게 했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도 않았다. 귀국한 16명을 그린란드의 고아원에 수용시켰고, 그 중 많은 이들은 부모나 가족을 다시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현재 생존한 이는 6명 뿐이라고 영국 BBC가 8일(현지시간) 전했다.
피해자 중의 한 명인 헬렌느 티에센(75)은 2015년 BBC와 인터뷰를 통해 딱한 사연을 털어놓은 적이 있다. 일곱 살 때 끌려왔다.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홀로 된 어머니가 자신 말고도 세 자녀를 키워야 해 설득 작업에 넘어갔다. 어머니는 “덴마크는 낙원 같은 곳이다. 슬퍼할 이유가 전혀 없단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52세가 된 1996년에야 이런 사실을 알게 됐으며 다시는 어머니와 관계를 이어갈 수가 없었다고 했다. 당시 여러 아이들이 부모로부터 버려졌다는 상실감 때문에 자존감이 부족했다고 증언했다.
덴마크 정부는 이날 자국 정부의 부끄러운 행동을 고백하는 보고서를 펴냈다. 이전 정부들은 하나같이 자신들의 책임은 아니라는 이유로 사과하지 않았다. 하지만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성명을 내 “과거에 일어난 일을 바꿀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책임을 인지하고 우리가 돌봤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이들에게 사과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생존해 있는 여섯 명에게 일일이 편지를 보내 “오랜 세월 이 사건을 알아봤는데 이 얘기에 얼마나 인간적인 비극이 도사리고 있는지 깊이 마음에 와닿는다”면서 “덴마크를 대표해 솔직하고 오래 기다린 사과를 드린다”고 했다.
티에센은 릿자우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마침내 우리에게 사과한 데 대해 안도하게 된다. 이것은 아주아주 중요하다. 모든 것을 의미한다. 난 이 문제를 밝혀내기 위해 1998년부터 싸워왔다”고 밝혔다. 킴 키엘센 그린란드 총리는 두 나라 관계가 진전되게 됐다며 “오늘 우리는 역사를 함께 뒤로 보내고 동등하다”고 반겼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