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협상 시한 극적 연장… 英·EU ‘노딜 파국’ 일단 막았다

브렉시트 협상 시한 극적 연장… 英·EU ‘노딜 파국’ 일단 막았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12-13 22:16
업데이트 2020-12-14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관계 협상 연장 공동성명

존슨 총리 “데드라인 넘겼지만 협의 지속”
英, 협상 불발 대비 함정 대기시켜 ‘긴장’
양측 정상 “늦더라도 합의 가능성 살펴야”
가디언 “피해 없는 규제 마련에 뜻 모아”

영국과 유럽연합(EU) 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협상 시한이 연장됐다. ‘노딜’로 치닫던 영국·EU 관계가 이번 시한 연장 결정으로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가디언 등은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EU 행정부 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13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내고 당초 이날로 예정됐던 협상 시한을 늘리기로 하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두 정상은 성명에서 “이날 오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주요 의제에 대해 통화했다”면서 “1년 가까이 협상을 진행했고, 여러 차례 데드라인이 지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점에서 우리는 좀더 시간을 가져야 할 책임이 있다고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협상을 지속해 늦은 단계에서라도 합의가 가능한지 살펴볼 것을 협상팀에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양측은 이날 오전부터 벨기에 브뤼셀 EU 본부에서 브렉시트 협상을 진행했으며, 이후 두 정상이 전화로 최종 의견을 조율했다. 앞서 영국 정부 당국자는 “우리가 수용할 수 없는 조건을 EU 측이 제시하고 있다”며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영국과 EU는 ▲공정경쟁 ▲분쟁 발생 시 거버넌스 ▲어업 등을 놓고 협상을 진행해 왔다.

두 정상이 이날 공동성명을 내기까지 브뤼셀 EU 본부와 영국 런던 총리관저 ‘다우닝가 10번지’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특히 전날 영국 국방부가 협상 무산에 따른 ‘노딜 브렉시트’에 대비해 자국 해협에 해군 함정을 대기시키기로 했다는 보도가 나오며 긴장감은 최고조에 다다르기도 했다. 국방부의 이 같은 대응은 브렉시트 협상이 합의 없이 끝날 경우 현재 정치적 긴장이 향후 해협에서의 군사적 갈등으로 번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풀이됐다. 또 영국 정부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의약품과 식품 등 필수재 비축에 나섰다는 보도가 나오며 존슨 총리가 사실상 ‘노딜 브렉시트’를 기정사실화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존슨 총리와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협상 시한을 연장하기로 하며 일단 파국은 피하게 됐다. 특히 두 정상이 “늦은 단계에서라도 합의 가능성을 살펴보라”고 지시한 것은 그동안의 비관적 전망과 달리 양측이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가디언은 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양측이 서로의 위상에 피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규제를 정하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물론 양측이 현재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에는 새해부터 노딜 브렉시트는 현실화된다. 이렇게 되면 영국과 EU는 당장 내년 1월 1일부터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교역을 해야 하고 서로에게 적용해 온 관세 혜택 등을 모두 폐지하게 된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12-14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