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에 경고장 날린 FIFA “축구 공짜로 보지 마”

北에 경고장 날린 FIFA “축구 공짜로 보지 마”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1-22 17:07
수정 2024-01-22 17: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2022 카타르월드컵 16강 한국과 브라질의 경기를 녹화 중계한 조선중앙TV 화면. 조선중앙TV 캡처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2022 카타르월드컵 16강 한국과 브라질의 경기를 녹화 중계한 조선중앙TV 화면. 조선중앙TV 캡처 연합뉴스
국제축구연맹(FIFA)이 지난해 7월 호주·뉴질랜드에서 열렸던 여자 월드컵 축구 경기를 무단 중계한 북한에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경고장을 날렸다.

22일(현지시간) FIFA에 따르면 북한은 당시 방영한 여자 월드컵 중계권을 구매하지 않고 무단으로 화면을 확보해 방영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FIFA 내부에서 ‘북한의 월드컵 경기 방영이 저작권자의 방송물을 허락 없이 취급한 행위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결국 FIFA는 조선중앙방송을 총괄하는 조선중앙방송위원회(KRT)에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경고장을 보냈다.

FIFA는 또 북한의 무단 중계를 방지할 보완 조치도 마련했다. 한국의 방송사들과 월드컵 중계 관련 협상을 할 때 이른바 ‘한반도 중계권 계약’ 관행을 채택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한반도 중계권 계약’은 FIFA가 국내 방송사와 중계권 계약을 맺으면 한국 방송사들이 인도적 차원에서 FIFA의 요청에 따라 북한 내 중계권을 다시 FIFA에 양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북한은 중계권을 돌려받은 FIFA와 연락해 경기 일부를 녹화·편집해 방영한다. 지난해 열린 2022 카타르월드컵 때도 이런 방식으로 한국과 브라질의 16강 경기가 북한에 중계됐다.

북한의 여자 월드컵 경기 무단 중계 사실을 확인한 FIFA는 KBS와 2026년 북중미 월드컵 중계권 협의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중계권 관련 내용을 포함하지 않기로 협의했다. 앞으로 북한은 FIFA에 직접 돈을 내고 계약을 맺거나 이에 상응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현재 북한은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등에서 주관한 경기도 계약 없이 무단 방영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향후 북한의 ‘공짜 축구 중계’ 관행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