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성 “한국산 정확도 확인 후 사용”
중대본 “아직 일본에 지원 추진 안 해”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 주지사 트위터 캡처
미 메릴랜드주가 한국에서 공수한 코로나19 진단키트.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 주지사 트위터 캡처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 주지사 트위터 캡처
아사히신문은 28일 한국산 진단키트의 일본 제공설이 나오고 있는 것과 관련해 “후생노동성은 한국산 키트를 일본 내에서 사용하려면 국립감염증연구소의 성능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후생노동성은 “한국산 키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며, 일본의 PCR 검사와 동등한 수준의 정확도가 있는지 등을 확인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가 없다”고 아사히에 밝혔다.
이에 대해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추가 검증은 해당 국가가 주권과 법령에 따라 알아서 판단할 일”이라면서도 “전문가들 사이에 국내 진단키트의 광범위한 적용성, 정확성, 신속성에 대해 이론이나 문제 제기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진단키트 제공설과 관련해 “일본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지원은 현재로서는 아직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이라고 단서를 달아 향후 추진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의료체계 붕괴 방지를 이유로 코로나19 감염 의심자에 대한 검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는 일본 정부는 당초 드라이브 스루 방식에 대해서도 트집을 잡아 빈축을 산 바 있다. 후생노동성은 지난달 15일 공식 트위터에서 “드라이브 스루 방식은 의사의 진찰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고 폄하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그러나 최근 일본에서는 드라이브 스루는 물론이고, 역시 한국이 최초로 고안한 ‘워크 스루’ 방식까지 연달아 도입됐다. 일본은 이날 275명의 신규 확진자가 확인돼 누적 확진자가 1만 4600명으로 늘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서울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4-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