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NHK가 지난 19∼21일 실시해 22일 발표한 월례 6월 여론조사에 따르면 아베 내각을 지지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36%로 지난달보다 1%포인트 더 떨어졌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포인트 상승한 49%였다. NHK는 “지지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2012년 12월 제2차 아베 내각이 출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아베 정권을 지지하지 않는 이유로는 ‘총리의 인성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 44%를 차지했다. ‘정책에 기대감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 27%로 뒤를 이었다. 정권을 지지하지 않은 이유로 아베 총리의 인성 문제를 든 응답 비율은 지난 4월 35%, 5월 36%에서 이달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보인 무능·무책임에 더해 검찰 장악을 위한 검찰청법 개악 시도, 측근인 전 법무상의 불법선거 혐의 구속 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지한다는 응답자 중에서도 그 이유를 ‘총리의 인성을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한 비율은 고작 5%에 불과했다. 지난 4월과 5월의 각각 6%보다도 낮은 것이다. 이를 ‘지지한다’와 ‘지지하지 않는다’를 모두 합한 전체 응답자 기준으로 다시 계산하면 아베 총리의 인성 때문에 정권을 지지하는 사람은 고작 2%에 그치는 셈이다.
한편 아사히신문이 23일 공개한 6월 여론조사에서는 아베 정권 지지율이 지난달보다 2%포인트 상승한 31%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긴급사태가 해제되면서 대규모 확산 국면이 끝난 것 아니냐는 안도감이 지지율을 소폭 상승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정권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은 52%로 전월과 같았다.
지지율을 소폭 올랐지만, 아베 총리를 더 이상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사람들의 비율은 큰 폭으로 뛰었다. 아베 총리가 내년 9월 임기를 마친 뒤 추가로 3년간 더 재임하는 ‘4연임’에 대해 응답자의 69%가 반대 의사를 밝혔다. 찬성은 19%에 그쳤다. 지난 2월 조사 때 반대가 60%였던 것을 감안하면 넉 달 새 아베 총리에 대한 거부감이 한층 커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