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세계 패션 시총 ‘1위’…韓매장 철수에도 中공략 성공

유니클로 세계 패션 시총 ‘1위’…韓매장 철수에도 中공략 성공

김규환 기자
입력 2021-02-17 20:20
업데이트 2021-02-18 0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니클로 매장 모습.
유니클로 매장 모습. 연합뉴스
패션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이 세계 의류업계 시가총액에서 ‘자라’(ZARA) 브랜드를 보유한 스페인 기업 인디텍스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불매운동 여파로 한국의 유니클로 매장이 잇따라 폐점하는 모습과는 대비된다.

17일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도쿄 증시에 상장된 패스트리테일링의 주가는 전날보다 3.06% 오른 10만 2500엔으로 거래를 마치며 창사 이후 처음으로 10만엔대에 올라섰다. 이에 따라 패스트리테일링의 시총은 10조 8725억엔(약 114조원)으로 확대되면서 유럽 증시에 상장된 인디텍스(15일 종가 817억 유로·10조 4600억엔)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패스트리테일링의 가장 큰 호재는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한 세계적인 재택근무 열풍이다. 고가의 외출복 시장은 고전을 면치 못한 반면 평상복과 실내복을 강점으로 하는 유니클로의 수요는 견고하게 유지된 덕분이다.

중화권 공략도 주효했다. 전 세계 유니클로 매장 2298곳(지난해 11월 기준) 가운데 60%가 아시아 지역에 집중돼 있다. 코로나 충격에서 가장 빨리 회복한 중국 내 매장은 791곳으로 일본(815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반면 자라는 대규모 도시 봉쇄 등으로 점포 휴업이 잇따른 유럽과 미주 지역에 매장의 70%를 두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1-02-18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