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로 반입된 토끼, 장애 덕에 동물원 ‘귀하신 몸’ 됐다

먹이로 반입된 토끼, 장애 덕에 동물원 ‘귀하신 몸’ 됐다

입력 2015-07-10 17:33
수정 2015-07-10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뒷다리 부상으로 앞다리만을 이용해 물구나무 자세로 걸어다니는 토끼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지난 2월 15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안 타임즈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류저우 동물원에 살고 있는 이 토끼는 본래 다른 토끼들과 함께 동물원 육식동물들의 먹잇감으로 반입됐다. 그러나 뒷다리에 장애가 있던 이 토끼는 오히려 묘기를 부리듯 앞다리 만으로 물구나무를 선 채 걸어 사육사들의 눈길을 끌었고, 결국 죽음을 피할 수 있었다.

전화위복이라 했던가. 이 토끼의 모습이 담긴 영상은 전 세계 누리꾼들로부터 탄성을 자아냈으며, 이제 물구나무 토끼는 동물원 내 다른 동물들보다 더 인기가 높은 귀하신 몸이 됐다.

동물원 측은 “뒷다리를 다친 토끼는 완벽히 걸을 수 없었지만, 장애가 문제가 되지 않았다”며 “토끼 덕분에 동물원 관람객 수가 이전보다도 크게 늘었다. 심지어 토끼는 우리의 새로운 스타가 됐다”고 기뻐했다.

사진=Austrian Times, 영상=Rex Features/유튜브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