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자의 성녀’ 초고속 聖人 되다

‘빈자의 성녀’ 초고속 聖人 되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09-04 23:10
업데이트 2016-09-0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테레사 수녀 선종 19년 만에 가톨릭교 성인으로 공식 추대

시성식에 빈민 1500명도 참석
“선교회 재정 불투명” 비판도

인도의 빈민가에서 가난 속에 고통받는 사람을 돌보는 데 평생을 바쳐 ‘빈자의 성녀’로 추앙받았던 테레사 수녀가 선종한 지 19년 만에 가톨릭교의 성인으로 공식 추대됐다.

4일 전 세계에서 온 10만명의 가톨릭교 신도들은 성당 앞 광장에 모여 시성미사를 드렸다. 바티칸 AFP 연합뉴스
4일 전 세계에서 온 10만명의 가톨릭교 신도들은 성당 앞 광장에 모여 시성미사를 드렸다.
바티칸 AF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은 4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대성당에서 테레사 수녀를 성인품으로 올리는 시성식과 시성미사를 거행했다고 AFP 등이 보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시성식에 참석한 10만명의 신도 앞에서 “콜카타의 복자 테레사를 성인으로 선언한다”며 “전 교회가 그를 공경할 것을 명한다”고 선포했다. 시성식에는 테레사 수녀가 설립한 사랑의 선교회 이탈리아 지부에서 돌보고 있는 빈민 1500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사랑의 선교회 수녀들은 식이 끝난 뒤 빈민에게 피자를 점심으로 나눠 주며 테레사 수녀의 업적을 기렸다.

시성식은 테레사 수녀 선종일(1997년 9월 5일) 하루 전에 열려 그 의미를 더했다. 가톨릭교에서 성인의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는 수백년의 시간이 필요하지만 테레사 수녀의 경우 전현직 교황이 시성을 강력하게 추진해 19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절차가 완료될 수 있었다고 AFP는 전했다.

테레사 수녀의 개인적 친구였던 요한 바오로 2세는 테레사 수녀 선종 2년 만에 시복 절차를 개시해 2003년 테레사 수녀를 복자로 추대했다. 복자는 성인의 전 품계다. ‘빈자를 위한 가난한 교회’를 추구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은 테레사 수녀를 자신의 비전을 구현한 인물이라고 여겨 시성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지난 3월 성인 추대를 공식 결정했다.

테레사 수녀는 1910년 당시 오스만튀르크에 속해 있었던 현재 마케도니아의 수도 스코페에서 알바니아계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28년 아일랜드에서 수녀 생활을 시작한 테레사 수녀는 그다음 해 인도로 넘어가 약 20년간 학생들에게 지리 과목을 가르쳤다. 이후 1950년 사랑의 선교회를 세워 빈민, 고아, 죽음을 앞둔 사람 등을 돌보는 데 헌신했다. 그 공로로 1979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하지만 사랑의 선교회가 환자를 방치 및 학대하고 재정을 불투명하게 운영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테레사 수녀의 명성도 빛을 잃고 있다고 AFP는 지적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09-0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