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 팍팍한 일상 벗어나 예술여행을…

점심시간 팍팍한 일상 벗어나 예술여행을…

입력 2010-02-18 00:00
수정 2010-02-18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말러의 교향곡 ‘대지의 노래’가 이태백의 한시와 무슨 관련이 있을까. 화가들은 왜 ‘누드’를 선호했을까….

직장인들의 지친 몸과 마음을 문화예술 강좌로 달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세종문화회관 산하 세종예술아카데미의 ‘2010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1학기 강좌다. 24일 개강한다. 강의실은 서울 세종로 세종예술아카데미 교육센터.

직장인을 겨냥한 만큼 강좌는 일주일에 한번이다. 대신,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강의 주제가 다양하다. 화요일은 이용숙 음악평론가의 ‘정오의 오페라’, 수요일은 조희창 음악칼럼니스트의 ‘클래식 플러스’, 목요일은 손철주 미술평론가와 심상용 동덕여대 미술학부 교수의 ‘정오의 미술산책’, 금요일은 황덕호 재즈칼럼니스트와 송기철 음악칼럼니스트의 ‘정오의 음악여행’이 준비됐다.

수요일만 빼고 모든 강좌는 오후 12시5분부터 1시까지 점심시간을 이용해 55분간 이어진다. 수요 클래식 강좌는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12시30분까지 2시간이다. 오스트리아 빈, 이탈리아 밀라노 등 음악 성지의 역사와 풍경을 되짚어 본다.

센터는 수강생들이 점심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샌드위치를 제공한다.

점심시간이 여의치 않으면 퇴근시간을 활용할 수도 있다. 수요일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음악 칼럼니스트 정준호와 오페라 해설가 유형종이 음악, 문학, 오페라, 발레 등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수요예술강좌’가 마련돼 있다. 목요일 같은 시간에는 피아니스트 겸 음악 칼럼니스트 김주영의 ‘클래식 인터뷰’가 있다. 종강은 가장 긴 강좌가 7월14일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www.sejongpac.or.kr/sejongaca) 참조. 수강료 22만~45만원. (02)399-1606.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2-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