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250곳에 한반도 유출 문화재 소장

日 250곳에 한반도 유출 문화재 소장

입력 2010-07-28 00:00
업데이트 2010-07-28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에서 유출된 문화재 6만1천409점이 일본 국립박물관이나 대학,사찰 등 250곳에 소장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아사히신문이 28일 한국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사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한반도에서 유출된 문화재가 해외에 10만7천857점이 흩어져 있다는 사실은 지난 1월 발표됐지만 이중 일본으로 건너간 6만1천여점이 어디에 소장돼 있는지 목록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유출된 문화재는 일본 궁내청이나 도쿄.교토의 국립박물관,국립공문서관 내각 문고,도쿄대,와세다대 등 국공립 대규모 시설 57곳과 도쿄의 사찰 조조지(增上寺)나 교토의 지온인(知恩院)같은 사찰 등 145곳에 흩어져 있고,개인 48명도 한반도에서 가져온 문화재를 소유 중이다.

 대다수는 서적류와 도자기 등이지만 도쿄 오쿠라 호텔 뒤뜰에 세워진 이천 오층석탑 같은 탑이나 불상 등도 포함돼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1965년 한국과 문화재.문화협력협정을 체결하면서 한국이 요구한 한반도 유출 문화재 4천479 품목 중 1천432품목을 돌려준 뒤 “법적인 문제는 모두 해결됐고,개인 소유 문화재는 돌려주기 어렵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본 국.공유 문화재 중에서도 궁내청에 보관된 조선왕실의궤처럼 한일 협정 당시에는 어디에 있는지 미처 파악하지 못해 반환이 성사되지 않은 것도 상당수 포함돼 있을 것으로 보여 이번 소재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반환 논의가 다시 한 번 활발해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