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 안 읽히는데 빠져드네… 왜? 재미있으니까!

의도 안 읽히는데 빠져드네… 왜? 재미있으니까!

입력 2010-08-26 00:00
업데이트 2010-08-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자 박지리의 소설 ‘합★체’

지난해 2월 대학을 졸업한 ‘백수’가 문학상 수상과 함께 화려하게 ‘작가’가 됐다. 상금 2000만원의 사계절문학상 대상을 받은 박지리(25)씨는 지난 24일 서울 광화문의 한 카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아직 작가라 불리는 것이 싫어요. 책이 나온 것도 걱정스럽고요.”라며 조심스레 말문을 뗐다.

이미지 확대
박씨에게 대상을 안긴 ‘합★체’는 그가 처음으로 완성한 소설이다. 대부분의 문학상 수상자와 달리 문학 전공자도 아닌 데다 작가 수업을 따로 받은 적도 없는 그야말로 신예다.

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를 졸업하고서 몸이 좋지 않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집에 머물며 한 달만에 쓴 소설이 바로 ‘합★체’다. 첫 작품으로 지난해 상금 1억원의 한 문학상에 응모했다가 최종심에서 한 표 차이로 떨어진 박씨에게 당시 문학상 심사위원이 계속 글을 쓰라고 격려했다. 힘을 얻은 박씨는 ‘합★체’를 많이 고쳐 사계절문학상에 다시 응모했고 결국 대상을 받게 됐다. ‘지리’란 작가의 이름은 박씨의 어머니가 제목조차 기억나지 않는 소설책에서 딴 것이다. 추리소설과 만화책을 좋아하는 박씨는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꿈은 꾼 적 없다고 했지만 태어날 때부터 문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던 셈이다.

‘합★체’는 난쟁이 아버지에게서 태어나 유전적으로 키가 작은 오합과 오체라는 쌍둥이 형제의 이야기다. 사계절 측은 키가 작은 남성을 ‘루저(loser)’라고 했다가 난리가 났던 상황에 격분한 40대 남성이 수상자가 아닐까 추측했다고 한다. 그만큼 신예가 썼다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사회비판과 모험, 무협의 코드가 재미나고 맛깔 나게 버무려졌다. 작가는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과 혁명가 체 게바라의 이야기를 적절히 등장시켜 작품에 무게감을 심어준다.

“소설을 쓰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재미”라고 밝힌 작가는 현재 두 편의 소설을 천천히 번갈아 가면서 쓰고 있다고 밝혔다. 문학상 심사를 맡았던 소설가 박상률은 “작가는 그냥 나직하게 ‘이야기’할 뿐이다. 그러나 독자는 이야기 속에 금세 빨려 들어간다. 왜? 재미있으니까!”라고 평했다. 강맑실 사계절출판사 대표는 “작가가 소설에 투영하고자 한 어떤 의도가 읽히지 않는 점이 오히려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8-26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