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격적 설정·대사…그 속에서 의미 찾기
“그 후로 나는 더듬이가 긴 곤충들과 진짜 가족이 되었다. 꽃다운 청춘을 바쳐 벌레가 되었다. 불 꺼진 방에서 우우, 우, 우 거짓말을 타전하기 시작했다. 더듬더듬, 거짓말 같은 시를!” - 안현미 시 ‘거짓말을 타전하다’ 가운데. 벌레 같은 나는 어떻게 거짓말 같은 시를 타전할 수 있었을까. 다음달 10일까지 서울 대학로 선돌극장에 오르는 ‘안녕 피투성이 벌레들아’(문삼화 연출, 공상집단 뚱딴지 제작)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놓는다. ‘피투성이’와 ‘벌레’를 감싸안는 ‘안녕’이란 단어는 따뜻한 손 내밀기다. 어찌 할 바 모를 절망감과 무력감에 떨고 있을 때 “사는 게 다 그렇게 아린 것이니라.”라며 궁둥이 툭툭 쳐주는 어미의 손길 같은 것 말이다.
공상집단 뚱딴지 제공
4개의 에피소드에서 저마다 절망적 사연을 드러냈던 등장 인물들이 마지막 희망 UFO를 기다리고 있다.
공상집단 뚱딴지 제공
공상집단 뚱딴지 제공
극은 4개의 에피소드를 제시한다. 첫번째, 피칠갑을 하고 있는 남녀 고등학생. 우연히 살인을 저지른 이들은 안정이 될 만한 뭔가를 끊임없이 이리저리 둘러보지만 보이는 건 없다. 두번째, 의족을 한 도루왕의 아들과 뚱녀. 이들은 차들이 시속 160㎞로 내달리는 고속도로에서 횡단을 꿈꾼다. 세번째, 부모의 자살로 공황에 빠진 두 남녀는 무의미해진 세상에서 의미를 만들어 보려 무던 애쓴다. 생명을 두고 장난질을 쳐가면서까지. 마지막, 냉동닭을 운반하던 남녀 한 쌍이 갑자기 사랑에 빠진다. 내외하던 이들이 어느새 여보라 부른다. 그런데 별것 아닌 사고가 나고 결국 남자가 죽어 버린다.
●4개의 에피소드… 마지막 장면이 열쇠
에피소드마다 파격적 설정과 대사가 던져지는 데다 캐릭터가 폭발하는 정점만 따오기 때문에 관객이 척하니 알아먹기 쉽지 않다. 4가지 에피소드 이후 마지막 장면이 해석의 열쇠다. 각 에피소드에 등장했던 이들이 한데 모여 UFO와 외계인을 기다린다. 뭔가 희망을 전해줄 것이라던 외계인은 멀리서 풀썩 자빠진다. 애타게 찾았던 희망이란 게 저렇게 허약했던 것이던가. 더구나 심하게 몰아치는 모래바람에 UFO가 나타날 모래언덕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어디서 구원을 얻나. 그래, 길은 원래부터 없었던 것이다.
‘연쇄살인범의 열정’, ‘외계인의 열정’에 이은 열정 3부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최원종 작가와 문삼화 연출이 5년 만에 함께했다. 공교롭게도 예수의 고난을 다룬 중세시대 연극 ‘수난극’(passion play)에 ‘열정’(passion)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수난극이 예수의 죽음을 전후한 1주일간을 그려 낸다는 점에서 헛된 희망을 남발하는 것보다 극한의 고난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열정의 원천이라는 얘기일까. ‘체념과 포기를 내면 깊숙이 받아들이고 인정하고 그 자리에서 다시 걷기 시작한다는 것, 그게 희망의 출발’이라는 작가의 말이 떠오른다.
●최원종 작가·문삼화 연출 5년 만에 함께
UFO와 외계인이란 설정이 황당하지만, 그게 UFO든 신이든 뭐든 애초부터 무슨 상관이었던가. 원래 아무런 의미가 없는 삶에서 의미를 길어올리기, ‘피투성이 벌레’인 우리가 끝내 ‘거짓말 같은 시’를 타전할 수 있었던 이유도 거기 있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9-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