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책 돌아오나

어떤 책 돌아오나

입력 2010-11-09 00:00
수정 2010-11-09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왕실의궤 81종167책 모두 대상

일본이 반환키로 한 도서 1205책은 궁내청 서릉부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실의궤 81종 167책과 대전회통 1책, 증보문헌비고 99책, 규장각 기타 도서 938책 등이다.

간 나오토 총리의 발표 당시 우리 정부는 궁내청 소장 639종 4678책 가운데 ▲조선왕실의궤 포함 조선총독부 기증도서 79종 269책 ▲경연도서 3종 17책 ▲제실도서 38종 375책 등 661책을 반환 대상으로 예상했다.
이미지 확대
반환될 일본 궁내청 소장 조선왕실의궤 가운데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에 실린 대조선국주상지보(大朝鮮國主上之寶)의 그림. 보인소의궤는 고종 13년 경복궁 교태전 화재로 소실된 옥새와 인장을 새로 제작할 당시의 기록으로, 옥새 제작에 관한 유일한 자료이다.  조선왕실의궤환수위원회 제공
반환될 일본 궁내청 소장 조선왕실의궤 가운데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에 실린 대조선국주상지보(大朝鮮國主上之寶)의 그림. 보인소의궤는 고종 13년 경복궁 교태전 화재로 소실된 옥새와 인장을 새로 제작할 당시의 기록으로, 옥새 제작에 관한 유일한 자료이다.
조선왕실의궤환수위원회 제공


하지만 예상을 훨씬 웃도는 규모에다, 조선왕실의궤 일부가 아닌 전부가 반환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조선왕실의궤는 당초 76종 154책에서 지난 4월 5종 13책이 추가로 확인됐는데, 일본 정부는 새로 발견된 것까지 모두 반환 대상에 포함시켰다.

조선왕실의궤는 왕실의 결혼, 장례, 사신 접대 등 주요 의식과 행사 과정을 그림과 함께 기록한 문서로 20 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궁내청에 소장된 의궤는 1922년 조선통감 데라우치 마사다케에 의해 오대산 사고 등에서 불법 반출된 것으로 전해진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맺을 당시 이뤄진 문화재 반환 협상 때는 조선왕실의궤가 궁내청에 보관돼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해 반환 대상에 포함하지 못했다.

이번에 환수되는 의궤에는 1895년 시해된 명성황후의 2년 2개월간의 국장을 기록한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도 포함돼 있어 한층 의미가 크다.

하지만 기대를 모았던 경연과 제실도서는 반환 대상에서 모두 제외됐다. 간 총리가 발표한 반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역대 국왕이 교양을 쌓기 위해 받던 강의인 경연도서는 일본이 통치하기 이전부터 일본 황실에 있었으며, 총독부를 경유하지 않았다는 게 일본 측 주장이다.

대한제국도서관에 소장됐던 도서 가운데 제실도서 도장이 찍힌 도서의 경우, 우리 학자들이 일본에 건너가 확인한 결과 우리 문화재로 단정짓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고, 반환 대상에서도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문화재’라는 기준에 따라 민간에 소장된 문화재도 반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반환 도서 가운데 대전회통은 1865년 고종의 명에 따라 영의정 조두순, 좌의정 김병학 등이 편찬한 조선시대 마지막 법전이다. 증보문헌비고는 상고(上古) 때부터 한말에 이르기까지의 문물제도(文物制度)를 총망라해 분류, 정리한 책이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1-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