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 음악’ 홍대 탈출

‘홍대 음악’ 홍대 탈출

입력 2010-11-25 00:00
수정 2010-11-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일 인디밴드 석달 주기로 셔틀공연

국내 인디 음악을 상징하는 곳이 ‘홍대’다. 처음엔 ‘그들만의 리그’로 여겨졌다. 하지만 국내 대중음악계가 아이돌 위주로 편향되어 가자 다양함, 신선함, 독특함의 상징적 대안으로 다시 재조명 받고 있다. 여세를 몰아 홍대 음악이 ‘홍대 탈출’을 시도한다.

이미지 확대
크라잉넛
크라잉넛
홍익대 주변이라는 좁은 공간에서 벗어나 일본 인디 음악계와 정례 교류를 시작한 것. 국내 인디 레이블 대표자 협의체인 서교음악자치회는 일본 최대 인디 음악 유통사 바운디와 파트너십을 맺고 첫 번째 프로젝트 ‘서울 도쿄 사운드 브리지’를 진행한다.

한국 인디 뮤지션 두 팀, 일본 인디 뮤지션 두 팀이 참여하는 합동 공연을 서울 홍대와 도쿄 시부야를 오가며 3개월 간격으로 3년 동안 펼칠 예정이다. 앞서 크라잉넛, 장기하와 얼굴들 등 인디 밴드들이 개별적으로 일본 인디 뮤지션들과 간간이 공연한 적은 있으나 이처럼 체계적이고 정례화된 교류는 처음이다.

서교음악자치회는 홍대 지역을 주 무대로 활동하는 인디 레이블 대표자들의 모임이다. 현재 40여개 레이블이 참여하고 있다. 2008년 친목 모임으로 시작해 지난해 정식 단체로 전환한 뒤 국내 인디 음악 발전 방안을 모색해 왔다. 참여 레이블을 ‘서교’라는 단일 브랜드로 묶어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전용 채널을 개설했다. 서울에서 열린 서울아트마켓(PAMS), 도쿄에서 열린 아시안뮤직마켓(TAMS) 등에 참여하며 해외 교류도 시도했다. 이번 일본 교류 프로젝트는 약 2년의 준비 끝에 맺어진 결과물이다.
이미지 확대
보드카레인
보드카레인


최원민 서교음악자치회장은 “한국뿐 아니라 일본도 대중음악계가 불황을 맞으며 인디 음악계 또한 여러 가지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면서 “합동 공연을 비롯해 실력 있는 인디 뮤지션의 양국 진출을 돕는 등 아시아 시장을 하나로 묶어 윈윈 효과를 거두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물꼬는 오는 28일 시부야 밀키웨이 라이브 클럽과 새달 4일 서교동 상상마당 라이브홀에서 터진다. 한국에서는 펑크록 밴드 크라잉넛, 모던록 밴드 보드카레인이 나선다. 일본에서는 인스트루멘털 듀오 피아노잭, 모던록 밴드 오또가 나선다. 서울 공연 3만 3000원. (02)330-6212.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11-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