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0주기를 맞아 존 레넌에 대한 추모 열기가 뜨거웠다면 올해는 영국 출신 록 밴드 퀸(Queen)의 차례인 것 같다. 결성 40주년을 맞아 퀸과 관련한 여러 이벤트가 줄을 잇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그룹 ‘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그룹 ‘퀸’
●밴드 결성 40주년… 이벤트 봇물
세계 록 역사에서 최고 밴드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퀸은 1971년 영국 런던에서 결성됐다. 프레디 머큐리(보컬·피아노)와 브라이언 메이(기타), 로저 테일러(드럼), 존 디콘(베이스)이 멤버였다. 1973년 그룹 이름과 같은 제목의 데뷔 앨범을 냈고, 이후 ‘보헤미안 랩소디’ 등 수많은 히트곡으로 음악 팬들의 심금을 울렸다. 20주년 때 머큐리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으로 세상을 떠난 뒤 활동을 멈췄지만 1995년 발매된 ‘메이드 인 헤븐’까지 15장의 정규 앨범을 통해 전 세계 앨범 판매고 1억 7000만 장을 기록했다. 결성 20주년이나 30주년 때와는 달리 4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추모 열기가 고조되는 까닭은 뮤직 비즈니스 탓이 크다. 원래 EMI 소속이었던 퀸은 올해 1월 1일부터 유니버설 뮤직으로 이적했다.
●全 음원 디지털 리마스터링 재발매
유니버설 뮤직이 이를 기념해 대대적인 바람몰이에 나섰다. 지난 3일 퀸의 모든 음원을 디지털 리마스터해 온라인상에 재발매한 것. 오는 11일에는 퀸의 여러 베스트 앨범 가운데 첫손으로 꼽히는 ‘그레이티스트 히츠’(Greatest Hits)를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으로 발매한다. 3월, 6월, 9월에는 퀸의 정규 앨범이 사상 처음 디지털 리마스터링을 통해 각각 5장씩 미발표곡들과 함께 발매된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1-1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