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리뷰] ‘콜렉터’ -비위 좋아도 견디기 힘든 50분

[영화리뷰] ‘콜렉터’ -비위 좋아도 견디기 힘든 50분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내가 악덕 사채업자에게 빌린 빚 때문에 아킨은 사랑하는 딸까지 잃을 위기에 처한다. 남은 것은 몇 시간뿐. 자정까지 돈을 갚아야 하는 아킨은 빈집털이를 계획한다. 최근 이사 온 보석판매업자 마이클의 집 수리를 맡았기 때문에 비밀금고 위치를 알고 있기 때문. 마침 가족여행으로 집까지 비었다. 저택에 잠입한 아킨은 비밀금고까지 순조롭게 접근한다. 그때 현관문을 여는 소리와 함께 발걸음이 들린다. 순간 아킨은 저택 안에 또 다른 침입자가 있음을 느낀다.

지난 26일 개봉한 ‘콜렉터’는 복면 살인마와 폐쇄공간에 갇혀 죽어가는 사람들의 얘기다. 복면을 뒤집어 쓴 살인마는 집 안 곳곳에 부비트랩을 설치해 놓고 한 명씩 도륙한다. 공포영화 ‘쏘우’ 4~6편과 최근작인 ‘쏘우:3D’(2010)의 각본을 쓴 마커스 던스탠의 감독 데뷔작이란 점에서 흥미를 갖는 공포영화 팬도 있을 법 하다. 실제로 던스탠은 전반부에는 공포영화의 뻔한 설정(복면살인마 vs 무기력한 희생자)을 요리조리 비틀면서 요령 있게 심박동을 끌어올린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남은 50분(상영시간 90분) 내내 눈과 귀가 불편하다. 공포영화라고 해도 감수하기에는 수위가 남다르다. 고전적인 살인마들이 단칼에 희생자들을 죽이는 것과 달리 ‘콜렉터’의 살인마는 쇠실과 갈고리, 펜치, 못, 덫, 칼 등 온갖 공구를 가지고 고문하며 죽인다. 웬만큼 비위가 좋지 않다면 버텨내기가 쉽지 않다.

‘쏘우’ 시리즈에서는 관객과 두뇌 게임을 시도했던 것과 달리, ‘콜렉터’에서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죽인다. ‘왜’(살인을 하게 됐나?)에 대한 질문 따윈 관심 밖이다. 영화 선전문구인 ‘놈은 반드시 한 명만 수집한다!’에 대한 답은 속편에서 보여줄 요량인지 2편을 예고하는 뻔한 결말을 선택한다.

‘어떻게’도 빈약하다. 살인마가 불사조란 건 넘어가자. 하지만 상식적으로 며칠쯤 공들였을 법한 온갖 부비트랩을 외부인인 살인마가 눈 깜짝할 사이에 설치한다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 ‘콜렉터’는 2009년 여름 북미에서 771만 달러(전 세계 944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던스탠 감독이 올초 속편 제작에 착수한 것을 보면 크게 손해는 보지 않았던 모양이다. 18세 관람가.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5-3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