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번역원, 佛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 한글 번역 시작
프랑스에서 145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에 대한 한글 번역 작업이 본격 시작된다. 또한 민간연구단체에서 진행하던 서유구(1764~1845)가 쓴 ‘19세기 조선의 브리태니커’ 임원경제지의 한글번역에도 올해만 3억원의 세금이 투입된다.

우선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사당인 경모궁에서 제사 지낼 때의 의식을 기록한 ‘경모궁의궤’를 우리말로 번역해 올 상반기에 출간할 계획이다. 19세기 ‘조선의 브리태니커’로 불리는 실용백과사전 ‘임원경제지’와 조선시대 형법으로 이두로 번역한 ‘대명률직해’(1395년), 홍의영(1750∼1815)이 함경도 지방을 돌아보고 쓴 연혁과 정황을 기록한 ‘북관기사’, 북간도와 백두산 일대가 조선의 영토임을 밝힌 ‘북여요선’(1903년), 첩이나 노비가 낳은 자식에게 벼슬 진출을 허용할지 여부를 다룬 19세기 초엽의 ‘통색촬요’도 번역된다.
한국고전번역원은 “7000종, 1만 6000책으로 추산되는 특수 고전 가운데 번역과 정리가 필요한 특수 고전은 3000종, 7000책에 달한다”고 밝혔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1-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