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부실판정’ 역사지도 보완 후 재심사”

동북아역사재단 “‘부실판정’ 역사지도 보완 후 재심사”

입력 2016-03-07 09:56
업데이트 2016-03-07 09: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도학적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실 판정을 받은 동북아역사지도가 보완 과정을 거쳐 재심사를 받게 됐다.

동북아역사재단 관계자는 “교육 당국은 최근 동북아역사지도 사업에 대한 특정 감사를 벌여 지도를 제작한 연세대ㆍ서강대 산학협력단에 4월 29일까지 지도를 보완·수정한 뒤 다시 제출하라는 공문을 보냈다”고 7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산학협력단 측이 한두 달이면 지도를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해 마지막 기회를 준 것”이라면서 “보완된 지도를 받아 6∼7월쯤 결론을 내릴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재단은 지도학자와 역사지리학자로 구성된 위원들이 지도학적 형식을 심사한 뒤 합격 판정을 하면 역사학자 중심의 위원단을 꾸려 지도 내용의 적합성을 추가로 살피도록 할 계획이다.

동북아역사지도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해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우리 민족의 역사 강역을 시대별로 표기한 것이다.

2008년 2월 재단 주도로 지도 편찬 사업이 시작됐으며, 연세대와 서강대 산학협력단이 1·2차로 나눠 8년간 실무를 수행했다. 사업단에는 전·현직 대학교수와 전문가 60여 명이 참여했다.

재단은 지난해 말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최종본 430여 매와 관련 문건 등을 받아 심사했으나 지도 가운데에 한반도가 아닌 중국을 배치하고, 지명을 한글로 표기하지 않는 등 지도학적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지난 1월 산학협력단에 협약 해지와 일부 연구비 환수를 통보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