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구창창 뉴스만’ 종편에 칼 꺼낸 당국

‘주구창창 뉴스만’ 종편에 칼 꺼낸 당국

강병철 기자
입력 2016-08-11 16:18
업데이트 2016-08-11 16: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앞으로 종합편성채널과 지상파 방송사들이 주시청 시간대 보도 프로그램 편성 비율이 42%를 넘으면 방송사 재허가나 재승인 심사 때 감점을 받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1일 최성준 위원장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2016년도 방송평가 세부기준 개정안’을 의결했다.

방통위는 매년 지상파(TV, 라디오, DMB), 종편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보도PP, 케이블TV(SO)/위성방송, 홈쇼핑PP 등을 대상으로 전년도 각사의 방송 내용과 편성, 운영 등 3개 영역을 평가해 방송사 재허가나 재승인 심사 때 40% 반영한다.

개정안에서는 ‘주시청시간대 편성 평가’ 영역에 ‘보도분야’를 신설해 지상파와 종편의 주시청시간대(평일 오후 7∼11시, 토·일·공휴일 오후 6∼11시) 보도 프로그램 방송시간 비율이 42%를 넘기면 초과 비율에 따라 감점을 주기로 했다.

또 지금까지는 지상파에 대해서만 주시청시간대 오락 프로그램 편성 비율이 60%를 넘기면 감점을 줬으나 이를 종편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방송평가 총점은 지상파가 900점, 종편은 700점으로, ‘주시청시간대 편성 평가’ 영역에서는 지상파에 60점, 종편에 45점이 배정됐다.

방통위는 방송평가 때 각 방송사가 제출한 방송 프로그램 유형별 편성비율에 대해 보도나 교양 등 분류가 적절한 지를 엄밀히 따져 평가할 방침이다.

방통위는 주시청시간대 보도 프로그램 방송시간 비율 기준을 45%로 하려 했으나 지난달 21일 전체회의 때 야당측 김재홍 부위원장과 고삼석 위원, 여당측 김석진 위원이 “종편의 경우 45%는 너무 높다”며 40%를 제안해 의결이 보류됐다.

김석진 위원은 “시사프로의 경우 일부 방송사에서 보도가 아니라 교양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는 만큼 이를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개정안은 이 밖에 ‘사회기여 프로그램 편성’ 항목에 ‘비상업적 공익 광고 편성평가’ 척도를 신설, 지상파와 종편의 공익광고 편성비율 등을 평가해 최고 10점의 가점을 주기로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