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는 낙태죄 폐지 청원과 관련해 답변에 나선 청와대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발언을 왜곡해 인용했다며 27일 강력하게 항의했다.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생명위원회(위원장 이용훈 주교)는 이날 공개 질의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인공임신중절에 대해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씀하신 적이 없다”며 청와대 답변에 강력히 항의하면서 정정을 촉구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청와대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청와대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앞서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지난 26일 낙태죄 폐지 청원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을 밝히면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신중절에 대해서 ‘우리는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씀하신 바 있다”고 언급했다.
주교회의는 이에 대해 “교황이 낙태에 관한 가톨릭 교회의 기본 입장 변화를 시사한 것처럼 발표한 것”이라며 “이는 국민에게 천주교가 낙태죄 폐지와 관련해 새로운 상황이 전개된 만큼 긍정적으로 논의할 수도 있으리라는 착각을 하게끔 하며 매우 교묘한 방법으로 사실을 호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청와대가 언급한 교황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그 출처를 명확히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정재우 가톨릭대 생명대학원장은 청와대 발표에 인용된 교황의 발언에 대해 “2013년 8월 19일 이탈리아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나온 것”이라며 “가톨릭 교회가 교리를 선포할 때 핵심적인 부분에 집중해서 선포할 필요가 있다며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황은 이 인터뷰에서 낙태 문제에 관해 “교회의 가르침은 명확하다”며 낙태에 반대하는 가톨릭 교회의 기존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정 신부는 덧붙였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기철 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