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황태손 고(故) 이구의 부인인 ‘마지막 세자빈’ 줄리아 리(본명 줄리아 멀록)가 지난달 26일 미국 하와이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94세
대한제국 마지막 황세손빈 줄리아 리. 서울신문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대한제국 마지막 황세손빈 줄리아 리. 서울신문DB
중앙일보는 이남주(78) 전 성심여대 음악과 교수의 말을 인용해 줄리아 리가 하와이의 요양원에서 별세했다고 6일 보도했다. 사망한지 열흘이 지나서야 그 소식이 알려졌다. 이남주 전 교수는 이구 선생의 9촌 조카다.
줄리아 리는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 이은의 외아들인 이구의 부인으로 조선왕가의 마지막 세자빈이다.
이 교수에 따르면 줄리아 리는 손전화도 못 쓸 정도로 거동이 불편해 누워만 있다가 쓸쓸하게 눈을 감았다.
이구는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인 이은과 일본인 부인 이방자 여사 사이에서 태어난 외아들이다. 줄리아 리는 독일계 미국인으로 1950년대 후반 미국 뉴욕에서 8년 연하인 이구를 만나 1958년에 결혼했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세손인 이구씨와 황세손빈인 줄리아나 여사 부부의 생전 모습.서울신문 포토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대한제국 마지막 황세손인 이구씨와 황세손빈인 줄리아나 여사 부부의 생전 모습.서울신문 포토DB
이구·줄리아 리 부부는 일본에 머물던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의 요청으로 1963년 함께 귀국해 서울 창덕궁 낙선재에 머물렀었다.
푸른 눈의 이방인 세자빈을 인정할 수 없던 종친회 외면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후사를 잇지 못한다는 이유로 이혼하라고 강요를 받기도 했다고 전한다.
이구는 낙선재가 싫다며 집을 나가 호텔 생활을 하면서 줄리아 리와 별거 생활을 했고 1982년 결국 이혼 서류에 도장을 찍었다. 이남주 교수는 “시어머니 이방자 여사와 불화했지만 낙선재에 바느질 방을 만들고 이 여사가 운영하던 사회복지법인 ‘명휘원’의 장애인을 고용해 기술훈련을 시키는 등 조선왕가의 마지막 여성으로서 도리를 다했다”고 말했다.
줄리아 리는 이혼 뒤 ‘줄리아 숍’이라는 의상실을 경영하며 복지사업을 계속하게 됐고 1995년 하와이에 새 정착지를 마련해 한국을 떠났다.
1970년 4월 28일결혼 50주년을 맞은 이방자(서 있는 세 사람 중 가운데) 여사가 아들 이구(1931~2005·이 여사 왼쪽)씨 부부와 함께 케이크를 자르는 모습. 입원 중이라 보이지 않는 영친왕은 이날 자신이 없는 가운데 금혼식을 치른지 나흘만에 세상을 떴다. 영친왕의 아들 이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건축과를 졸업하고 8년 연상의 미국인 줄리아 멀록(사진 오른쪽)을 만나 결혼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970년 4월 28일결혼 50주년을 맞은 이방자(서 있는 세 사람 중 가운데) 여사가 아들 이구(1931~2005·이 여사 왼쪽)씨 부부와 함께 케이크를 자르는 모습. 입원 중이라 보이지 않는 영친왕은 이날 자신이 없는 가운데 금혼식을 치른지 나흘만에 세상을 떴다. 영친왕의 아들 이구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건축과를 졸업하고 8년 연상의 미국인 줄리아 멀록(사진 오른쪽)을 만나 결혼했다.
2000년 9월 일시 귀국한 줄리아는 한 달 여 머물면서 추억의 장소를 둘러봤다. 시아버지 영친왕의 묘소를 참배하고 한때 안주인으로 살림을 살았던 낙선재에 들렀다. 조선왕가의 유물과 한국 근대사 관련 사진 450여 점을 덕수궁박물관에 기증했는데 이때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가 ‘줄리아의 마지막 편지’라는 제목으로 방송되기도 했다.
이구는 2005년 7월 16일 도쿄의 옛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에서 주검으로 발견됐고, 그의 유해가 20일 국내로 들어와 장례를 치를 때도 줄리아 리는 초대받지 못했다. 낙선재와 종묘를 거쳐 장지로 떠나는 장례 행렬을 먼발치에서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
줄리아 리의 임종은 낙선재 시절 입양한 이은숙(지나 리)씨가 지켰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