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와 SBS가 메인뉴스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지도를 사용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JTBC, SBS 일본해 표기논란 사과 방송화면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JTBC, SBS 일본해 표기논란 사과
방송화면 캡처
손석희 앵커는 28일 JTBC ‘뉴스룸’에서 “우선 사과 말씀부터 드리고 시작하겠다. 어제(27일) 팩트체크 코너에서 미국 버클리대에서 만든 미세먼지 버클리 어스 지도를 사용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동 번역 기능을 가진 구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 지도에는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돼있었으나 미처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이다. 보도책임자로서 사과드리며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SBS ‘8뉴스’도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보도하는 과정에서 일본해 표기 지도가 전파를 탔다.
김현우 앵커는 28일 뉴스 말미 “어제(27일) 8시 뉴스에서 우리는 일본해라고 쓰여진 세 개의 지도를 보여줬다”로 시작하는 클로징 멘트를 했다.
김현우 앵커는 “우리가 인용했던 미국 기상연구소 버클리 어스의 세계 미세먼지농도 자료가 한글로 자동 번역되면서 동해가 일본해로 표시된 것”이라는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김 앵커는 “우리가 방송 전에 미리 확인하고 당연히 동해로 바로잡았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라며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 드린다. 앞으로 뉴스를 만드는데 더 꼼꼼히 살피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겠다. 시청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시청자들은 과거 JTBC와 SBS가 ‘일본해’ 표기와 관련해 비판하는 보도를 했기에 더욱 실망스럽다는 반응이다. JTBC는 2016년 6월 2일 ‘비하인드 뉴스’ 코너에서 일본해가 표시된 지도를 사용한 국민의당 강연을 비판했다. SBS 역시 지난 2015년 문체부 산하기관인 한국문화정보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일본해와 동해가 같이 표기돼 있다고 질타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