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효과 나는 것’ 질문엔 정반대 답변

결혼정보회사 온리-유와 비에나래가 재혼 희망 돌싱남녀 538명(남녀 각 269명)에게 ‘재혼 후 부부 생활에서 자주 많이 하면 할수록 더 좋은 것이 무엇이냐’고 물은 결과, 남성은 부부관계(32.3%)를, 여성은 외식(34.2%)을 꼽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남성의 경우 부부관계에 이어 취미활동(25.3%), 상대 자녀 돌보기(21.2%), 기념일 챙기기(14.1%) 등 순으로 답변이 많았다.
여성은 외식 다음으로 기념일 챙기기(24.2%), 취미활동(20.1%), 부부관계(15.2%) 등 순이었다.
‘재혼 후 부부 생활에서 너무 자주 하여 정도가 지나치면 역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묻는 질문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남성 응답자들은 외식(35.3%)을 가장 많이 꼽았지만, 여성은 부부관계(29.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2위 이하 답변에서는 남녀의 의견이 비슷하게 집계됐다. 상대 자녀 돌보기(남 24.2%, 여 27.1%)와 취미활동(남 18.2%, 여 24.2%), 기념일 챙기기(남 13.8%, 여 11.9%) 등 순이었다.
또 ‘재혼 후 부부 생활에서 꼴불견인 모습’을 묻는 질문에는 남성은 무뚝뚝함(32.7%)과 무기력(26.8%)을, 여성은 무기력(33.8%)과 다혈질(27.1%)을 각각 1·2위로 꼽았다.
온리-유 관계자는 “남성은 부부관계를 가급적 자주, 오래 하려는 자세이지만 여성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귀찮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남성은 집에서 아내가 해주는 음식을 먹고 싶어 하나 여성은 외식으로 간단하게 해결하기를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