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았다? ‘접근법’이 다르다!
역사학자 이덕일(왼쪽·50)이 다시 논란이다. 그를 둘러싼 논쟁이야 문학동네 인터넷 카페(cafe.naver.com/mhdn)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 잠시 다른 역사학자 얘기를 해 보자. 최근 ‘정조와 불량 선비 강이천’을 펴낸 백승종(오른쪽·54)이다. 이덕일과 백승종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뛰어난 필력을 바탕으로 알기 쉬운 역사책을 써 왔다는 점이다. 그래서 역사에 관심은 있으나 쉽게 접근할 엄두를 내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두 사람의 존재는 귀하다.

어찌 보면 별것 아닌 얘기인데, 진즈부르그는 메노키오가 치즈와 구더기의 비유를 스스로 생각해 냈다고 주장한 점에 주목했다. 당시 농부가 체계적 논증법이나 수사학을 배울 수는 없다. 아마 당대에 떠돌아다니던 민담에다 농사짓던 체험 등을 모조리 섞었으리라. 진즈부르그는 메노키오의 진술을 통해 그 어느 공식 기록에도 남아 있지 않은 16세기 유럽 민중사를 들춰 낸다.
백승종도 강이천에 대한 재판 기록 ‘죄인강이천등추안’을 파고들어 몇 가지 질문을 던진다. 정조는 조선의 르네상스를 일으킨 개혁 군주인가, 아니면 보수 반동 군주에 불과한가. 조선이 망한 것은 정조의 개혁이 실패해서가 아니라 정조의 성리학 근본주의가 지나치게 성공적이었던 때문은 아닌가. 민속화가 김홍도는 혹시 왕실의 어용화가가 아닌가. 파격적인 주장임에도 크게 거부감이 들지 않는다. 이야기를 풀어 가는 방식 때문이다.
다시 이덕일로 돌아가 보자. 그의 핵심 주장은 노론 망국론이다. 노론이 친일파로 이어지고, 이들이 일제 식민사학으로 연결된다고 본다. ‘일제 식민사학 하수인’ 취급을 받고 가만 있을 사람이 어딨겠는가. “이덕일에게 이를 갈고 있는 학자가 100명은 된다.”는 농담처럼 주류학계는 “노론 망국론은 조선을 부정하기 위해 일제 식민사학이 만들어 낸 것”이라며 따라서 “이덕일이야말로 식민사학의 후예”라고 반격한다.
학계에 논쟁이 많은 것을 탓할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우려되는 것은 감정적 대립이다. 서로에게 ‘식민사학 후예’ ‘학자인 양하는 장사꾼’이라는 식의 꼬리표 붙이기 말이다.
‘치즈’는 역사서임에도 추리소설처럼 쓰여서 문학과 역사학의 행복한 만남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백승종도 남들이 눈여겨보지 않던 사료를 끄집어내 자신이 품은 의문을 독자와 함께 풀어 나가는 방식으로 ‘강이천’을 썼다. 이 같은 접근법을 이덕일과 그 반대 진영에서 볼 수 없는 것은 안타까운 대목이다. 이제는 모진 언사로 상대를 깎아내리기보다, 자신은 조금 다른 관점에 서 있다는 사실을 설득력 있는 책으로 세상에 내놓는 것은 어떨까.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2-0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