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亞·아프리카서 미래 문학 가능성 발아” 소잉카 “한국 작가들, 비판적 사고 유지하길”

고은 “亞·아프리카서 미래 문학 가능성 발아” 소잉카 “한국 작가들, 비판적 사고 유지하길”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11-05 22:16
수정 2017-11-05 2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시아문학페스티벌 특별대담

“고대와 중세에는 아시아 문학이 세계문학을 이끌다 근현대 이후 서구 문학이 앞서 왔죠. 앞으로는 아시아·아프리카 등 덜 성숙한 곳에서 문학성이 발화해 미래 세계문학의 가능성이 만들어질 거라 생각합니다.”(고은)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문학페스티벌에서 아프리카 최초의 노벨문학상 작가인 월레 소잉카(오른쪽)와 고은(왼쪽) 시인이 대담을 나누고 있다. 뉴스1
지난 4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문학페스티벌에서 아프리카 최초의 노벨문학상 작가인 월레 소잉카(오른쪽)와 고은(왼쪽) 시인이 대담을 나누고 있다.
뉴스1
●“창의력 말살 시대 맞서 나아가자”

문학의 종말을 함부로 예단하는 시대에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두 거장이 문학의 역할과 의미를 다시 상기시켰다. 1986년 아프리카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나이지리아 시인 겸 극작가인 월레 소잉카(83)와 고은(84) 시인은 지난 4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문학페스티벌 특별 대담에서 “창의력을 말살시키는 시대에 맞서 경계를 뚫고 나아가자”고 한목소리를 냈다.

고은 시인과 소잉카는 독재정권에 저항하다 옥고를 치르고 투쟁의 경험과 사유를 문학에 새겨 넣은 교집합을 지닌다. 두 사람은 이슬람의 근본주의 움직임, 미국과 유럽의 우파정권 득세, 한반도의 긴장 상태 등 현재 세계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있어 문학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거침없는 사유를 펼쳤다.

소잉카는 “한국의 지리학적 위치가 전략적이기 때문에 여러 국경 간의 권력이 한국에 응집되는 것 같다”며 “이런 현실에 해답을 제안하기 위해 한국 작가들이 비판적인 사고를 유지하면서 계속 글을 쓰길 바란다. 진실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유지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인간사에서 문학은 사라질 리 없다”

문학 무용론이 끊임없이 불려 나오는 현실에 대한 위기감을 공유하고 이를 부정하는 증거들도 함께 나눴다.

“문학의 종언을 예언하는 사람이 흔하듯 시의 위상은 지금 밑바닥에 있습니다. 하지만 시는 항구적인 별처럼 존재합니다. 시는 사람이 사는 사회에서만 일어나는 형식이 아닙니다. 우주의 움직임과 변화와 법칙에서 나온 것이죠. 시의 소재가 됐던 재료들-이를테면 사랑하는 임, 떠난 임, 물, 술 등 희로애락의 모든 것이 있는 한 시는 없어질 리가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 이 자리에서 소잉카와 더불어 시를 확신합시다.”(고은)

고은 시인이 인간사의 희로애락이 있는 한 문학이 사라질 리 없다고 확신했다면, 소잉카는 절망과 환멸의 현실에서 사람들을 버티게 하는 건 문학이라고 긍정했다.

“아프리카에서 반가운 발전 가운데 하나가 문학계에서 특히 젊은 여성 작가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일입니다. 정치적 지형이 어지러운 아프리카에서 사람들이 문학에 기대는 건 절망하지 않기 위해서지요. 수년 전부터 종교적 근본주의 움직임이 대두되며 생겨난 보코하람(나이지리아에서 조직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의 뜻은 ‘책은 죄악’이란 뜻입니다. 이들은 글을 소비하고 쓰는 행위를 공격하는데, 이는 문학의 생산성이 증대된 데 대한 반작용이지요. 글을 쓴다는 건 이렇게 어려운 정치·경제적 상황에 내가 무너지지 않았다는 걸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합니다.”(소잉카)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11-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