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페 대신 스크린 오른 록밴드…떼창 없어도 열기는 뜨겁다

록페 대신 스크린 오른 록밴드…떼창 없어도 열기는 뜨겁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1-04-02 00:45
업데이트 2021-04-02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소년·기프트 극장용 영상 내놔
국카스텐 콘서트 실황 전국 상영

영화관의 불이 꺼지자 록 밴드 멤버들이 스크린에 등장한다. 카메라는 연주자들의 표정과 손짓까지 담아내고 기타와 보컬, 드럼이 뿜어내는 사운드는 ‘방구석 1열’보다 훨씬 생생하다. 마스크를 쓴 관객들은 고개를 까딱이며 음악에 몰입한다.

록 밴드들이 극장으로 향하고 있다. 새소년과 기프트가 극장용 영상을 상영한 데 이어 국카스텐도 공연 실황을 스크린에 올렸다. 공연장이 장기간 열리지 못하면서 밴드의 매력을 즐길 수 있는 선택지로 팬들의 관심이 높다.
이미지 확대
국카스텐
국카스텐
매년 오프라인 콘서트를 이어 온 국카스텐은 지난달 24일부터 ‘국카스텐 콘서트 실황: 해프닝’을 전국 54개 스크린에서 상영 중이다. DVD로 발매한 2016년 연말 콘서트를 대형 스크린과 5.1채널 사운드를 갖춘 영화관에 알맞게 재편집했다. 특유의 폭발적인 라이브를 극장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정교한 후반 작업을 거쳤다. 1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1주일간 총 3485명이 관람했다.

소속사 인터파크 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최근 오프라인에서 공연을 하지 못한 것도 이번 상영을 하게 된 계기 중 하나”라며 “코로나19 방역수칙상 관객이 함께 노래를 따라 부르지는 못하지만 오랜만에 팬들을 만나는 기회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새소년
새소년
이미지 확대
기프트
기프트
록 밴드 새소년과 포크 밴드 기프트도 지난달 21일까지 2주간 전국 5개 CGV 상영관에 연주 영상을 올렸다. ‘아지트 라이브 프리미엄’이라는 이름으로 기획된 영상은 각 팀의 개성을 살린 세트에서 1시간 30분간 연주하는 모습을 담았다. 방탄소년단, 송가인 등 아이돌 그룹이나 트로트 가수의 영상은 사례가 있지만 밴드의 영상을 별도로 만들어 상영한 것은 처음이다.

콘텐츠를 기획한 CJ문화재단에 따르면 기프트는 총 40회차, 새소년은 50회차가 상영됐으며 일부 회차를 제외하면 대부분 매진됐다. 콘텐츠 분류상 영화에 포함되지 않아 전산망에 집계되지 않지만 새소년의 경우 개봉 당일 예매율이 전체 영화 6위에 오르는 등 상위권을 차지했다는 설명이다.

관객들은 온라인 스트리밍 콘서트와 다른 매력이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튜브 라이브는 집에서 채팅할 수 있어 좋지만 음악과 공연 자체가 목적이라면 극장이 낫다”, “사운드와 대형 스크린, 아티스트 클로즈업 등 영화관의 장점이 있었다”는 등 후기가 올라오기도 한다. 비교적 일반 공연 형식에 가깝고 상영 전 무대 인사를 통해 밴드를 볼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CJ문화재단 관계자는 “대중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팬들의 높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상영을 바탕으로 더 완성도 있는 다른 콘텐츠를 준비해 선보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1-04-02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